Phone Number Sign In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워킹비자발급받는방법 (8)


소간지
안녕하세요

다음달에 세부에 들어가려고하는데요

약 3~4년전부터 세부에 계속 지냈었는데 관광비자로있었습니다

이번에 세부에 들어가게되면 꼭 취업비자로있고싶은데..

혹시라도 취업비자를 받을수있는방법이나 알고계시는분 계신가요??

아시는분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p>9G ``워킹비자`` 신청과 절차</p> <p>9G비자(워킹비자)는 이민국에서 분류한 ``Section 9, Paragraph G``의 약칭으로 이것을 줄여서 9G라 부르고 있다.</p> <p>9G비자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은 회사의 임원(대표이사 및 이사) 그리고, 회사에 소속된 사원들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법인사업체든 개인회사든 정식으로 사업자 등록을 받은 고용주(employer) 및 임직원(employee)는 9G 비자를 받을 수 있다.</p> <p>정식으로 취업을 하지 않더라도, 50세 미만은 은퇴비자 예치금(US$50,000)에 대한 부담으로 은퇴비자 대신 워킹비자를 발급 받아 체유하는 경우가 최근에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것은 엄연히 편법이므로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한 서류처리 절차가 필요하다.</p> <p>워킹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p> <p>1. AEP(Alien Employment Permit) `` 외국인 고용허가서 ``</p> <p>필리핀 노동청(DOLE, Department of Labor and Employment)에서 외국인 노동허가 AEP(Alien Employment Permit, 외국인 노동허가)를 반드시 발급 받아야 한다.</p> <p>외국인 노동허가를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p> <p>1. 고용계약서 작성시 고용기간을 비자기간과 일치하게 기재해야 한다.</p> <p>외국인 노동허가는 신청자가 회사의 임원일 경우와 신청자가 일반직원인 경우, 두 가지가 있는데, 반드시 회사와 개인간 고용 계약서가 필요하다. 이때 고용기간을 명확하게 기재하지 않은 경우,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발급받고자 하는 비자기간은 1년인데 고용계약서를 1년 1개월로 작성하면 AEP 만들 때에도 1년이 아닌 2년 기간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비자 신청시에도 2년 기간에 해당되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경비를 지출하게 되는 셈이다.</p> <p>2. 일을 시작하는 시점을 신청일로 부터 2개월 정도 후로 정하여 고용계약서를 작성한다.</p> <p>예를들어, 신청일을 기준으로 고용 계약서를 작성하고 공증을 받은 후 노동청에 AEP를 신청을 할 경우, 노동청에서는 AEP를 소지하기 전에 불법 취업(사업)을 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하게 된다. 즉, 신청일~고용허가서 발급일(또는 신청기간 중) 까지의 일정기간에 대해서는 불법취업으로 판단해버리는 것이다.</p> <p>AEP 발급은 관할 지역 노동청(DOLE)에 접수하면 약 1개월 정도 소요되고, 이것을 가지고 취업비자를 받기 위해 이민국에 서류 접수하면, 최종 승인까지 약 3개월 정도 기다려야 하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해서 고용 계약기간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p> <p>3. 1년 이상의 워킹비자를 받으려면 직책을 General Manager 등 일반 계약직 사원으로 하여 AEP를 신청한다.</p> <p>주식회사의 임원직인 경우 매년 주주총회를 거쳐 임원진 멤버가 바뀌게 되어 있으며 이를 SEC에 신고하게 되므로, President, Director 등 임원진 멤버로 직책이 되어 있으면 AEP는 1년 으로 나온다. 따라서, 임원진이 아닌 일반 계약직 사원으로 고용계약서를 작성하여 원하는 기간을 정확히 명기하면, 2년 또는 3년짜리  AEP를 발급</p>

<p>위에 답변 드린 것과 같이 굉장히 복잡합니다. 대행 업체에 맡기시는게 빠르고 정확합니다.</p>

@ 세부관리자 님에게...<br /><br />이런 질문 물어보기 좀 그런데요..;;<br />위에방법말고 좀 쉽게 돈으로 어떻게 발급받을수는없을까요??

개인이 하기엔 정말 복잡합니다<br /><br />워킹비자를 하려면  법인이 설립이되서<br /><br />그 회사에 소속이 되어서 워킹비자를 받아야하는데.<br /><br />복잡하오니 알고있는 대행업체에 맞기시는게 좋은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그대내품에 님에게...<br /><br />이런 질문 물어보기 좀 그런데요..;;<br />위에방법말고 좀 쉽게 돈으로 어떻게 발급받을수는없을까요??

@ 소간지 님에게... 정상적인 루트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 소간지 님에게...들어가서 현지 여행사와 상의하세요.<br /><br />예전에는 돈만 있으면(?) 해 줬는데 이제는 정식 직장없이 쉽게 받기는 쉽지 않을겁니다. 청장이 바뀌면서 엄격해 져서요.(마닐라 기준)

P

일을 하셔야 받을 수 있습니다. 요세 워킹비자 발급 받는게 하늘의 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