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한-필 교역규모 120억 달러 돌파
2013년 한-필 교역규모 120억 달러 돌파 - 2003년 50억 달러에서 2013년 125억 달러로 10년 만에 2.5배 이상 증가 - - 반도체, 선박류 수출과 동제품 수입 증가 뚜렷 -
□ 총괄
○ 2013년 양국의 총교역액은 124억9000만 달러를 기록, 수출 87억8000만 달러(+7.0%), 수입 37억1000만 달러(+12.8%)로 무역수지 50억8000만 달러 흑자 시현 * 교역규모는 2003년 49억4000만 달러에서 2013년 124억9000만 달러로 10년 만에 2.5배 이상 증가
○ 전체 교역량은 전년 대비 8.6% 증가, 필리핀은 한국의 교역대상국 중 수출 15위(△1), 수입 28위(△1)
한-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품목별 수출 동향
○ 반도체 수출이 +34.3% 증가하며 약진했으나 주력품목(석유·자동차) 부진과 철강제품 약세 지속으로 전체 수출증가율은 둔화(25.7%→11.9%→7.0%)
○ (호조품목) 메모리반도체(+96.9%), 선박류(+165.1%) 수출 증가 - 반도체: 필리핀 경제성장 및 제조업 활성화로 주력품목인 반도체부품 수요 증가, 모바일 기기 수요 확대에 따른 메모리 및 낸드가격 상승에 기인 - 선박류: 한진 수빅조선소 수주물량 확보(‘13년 말 22억 달러, 42척)로 선박(4900만 달러), 부품(1억 달러) 수출 증가세 지속
○ (부진품목) 석유(-1.3%), 자동차(-4.1%), 강반제품(-19.5%) 수출 감소 - 석유: 동남아 신흥국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 ASEAN 수출 감소(-7.7%) 영향 - 자동차: 현대차 공급부족으로 인한 필리핀 내 승용차 판매량 감소(2억7000만 달러→2억2000만 달러 -21.5%) - 철강: 글로벌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 지속, ASEAN 수출 감소(-16.9%), 빌레트 수출 부진(-19.5%)
한국의 대필리핀 10대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품목별 수입 동향
○ 원유(-14.8%), 기호식품(-13.9%)을 제외한 전 품목에서 증가해 전체 수입 증가율은 플러스로 반등(2012년 -8.0%→2013년 +12.8%)
○ 지난해 부진했던 반도체 조립·가공제품의 수입은 증가(9억9000만 달러, +12.3%) - 집적회로(4억2000만 달러, +37.8%), 컨트롤러(3억5000만 달러, -9.3%), 메모리(1억2000만 달러, +20.5%) 등
○ 원유의 경우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수입액 감소(4억7000만 달러, -14.8%)
○ 광물류 수출이 활기를 띠면서 필리핀산 동제품 수입 급증(4억5000만 달러, +92.8%) - 동제품: 동괴(2억9800만 달러, +298%), 동스크랩(1억5000만 달러, -8.7%), 동광(1억2000만 달러, +41.8%) 등 - 필리핀의 동제품 수출액은 2012년 7억5000만 달러에서 2013년 11억2000만 달러로 48.9% 증가
○ 곡실류(바나나, 파인애플), 사료용 박류 등 농산품 수입은 증가세 유지 - 2013년 필리핀의 바나나 9억1000만 달러(+40.9%), 야자박 2억4000만 달러(+92.5%) 수출액 각각 증가
한국의 대필리핀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시사점 및 전망
○ 양국 교역은 필리핀 경제의 고성장 지속(2013년 7.2%)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필리핀은 아세안 10개국 중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이어 우리나라의 4위 수출대상국으로 교역증가율 면에서도 아세안 평균치를 상회
○ 비록 전체 수출 증가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수입규모가 감소에서 증가로 돌아섰으며, 2014년에도 반도체 및 선박류를 중심으로 수출 호조를 이어갈 전망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주요 바이어 및 주재상사 인터뷰, 코트라 마닐라 무역관 분석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