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우리' 라는 단어 (4)


영원한하루
한국은 '우리'라는 단어를 즐겨 쓰는데 이게 좀 외국인에겐 어색한가 보네요. https://youtu.be/08QMABoLEP0?si=JdZ8JhVqmhGC6k1_

우리? 돼지 우리, 소 우리, 닭 우리 하나도 어렵지 않는데요 ~~^^ 아하~ 영어로 We,Our,Us 를 말하는가 봅니다. 그러고 보니 서양애들은 "we" 라는 단어를 자주 안쓰는듯 싶네요. 아마도 개인 인격, 사생활을 존중하는 의미인듯 싶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범죄자가 우리나라 어쩌구 저쩌구 하면, 나도 같은 범죄자가 되어버리니, 우리라는 단어 사용도 주의해야 될것 같습니다. 서로가 상대방에 대한 책임감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 사용하는게 옳지 않을까 싶네요. 예를들면, 마이클 잭슨의 "We are the world" 라는 노래를 들어보면 우리모두의 책임감을 노래하고 하고 있지요~~

벼농사 유교사상 국가의 특징 벼농사는 이웃의 협업 없이 불가하여 그리 되었다함 최근 유교사상과 자본주의 선택적 혼종으로 비교문화 저출산등 부정적 견해가 많이 나오고 있음 개인주의를 이기적인 놈으로 생각하는게 특징임

O

필리핀에서 자식을 키우다 보면 느끼는중 가장 어색한것이 우리학교, 우리동내등등이 아니라 내학교, 내동내 입니다... 우리보단 내가 중심으로 ...

아마도 개인 인격, 사생활을 존중하는 의미인듯 싶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