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쌀 산업의 또다른 문제 ‘밀수’ (2)


국내외 시세차익 노린 업자들 관세도 물지않은 쌀 대량 유통 필리핀의 쌀 산업 경쟁력이 주변국보다 떨어지는 데에는 낮은 생산성과 높은 국내가격 이외에 또 다른 요인이 있다. 바로 밀수다. 쌀 밀수가 필리핀의 쌀 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다는 얘기다.  필리핀 관세 당국의 공식 통계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은 베트남으로터 2011년 58만1000t의 쌀을 수입했다. 하지만 미국 농무부(USDA)는 필리핀이 2011년 150만t의 쌀을 수입했으며, 이는 대부분 베트남산이라고 밝히고 있다. 왜 100만t 가까운 물량이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바로 밀수 때문이다.  실제로 2013년 8월 필리핀 세부 지역의 한 쌀 무역업자는 베트남으로부터 3억5400만페소(약 84억9600만원) 상당의 쌀을 베트남으로부터 몰래 들여오다 적발돼 기소됐다. 국내 쌀 가격이 국제가격보다 30%가량 높다 보니 그 차익을 노린 밀수업자의 밀수 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관세도 물지 않는 값싼 밀수 쌀이 국내 쌀 시장에 유통되면서 상대적으로 비싼 필리핀 국내산 쌀의 경쟁력은 더욱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필리핀 루손 지역 쌀농가와 도정업자·무역업자·소매업자들이 쌀 밀수를 막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리가라도 의장은 “쌀 밀수를 막기 위해서는 민간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민신문)
pak2140

작금의 문제는 관개수로부의 부정부패로인한 관개수로의 붕괴가 원인이 된듯함. 70년대만해도 쌀 수출국이던 필리핀이 관개수로의 붕괴로 쌀 생산량 저하(이모작도 겨우함)  

곤잘레스

이렇게 좋은 기후 조건에서 안타까운 현실이군요..모든게 부정부패가 원인이네요.

뉴스

Page33of99, total posts: 3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