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저는 여기한 14년 정도있었고요. 시골 깡촌 도시 등 어촌에도 살았었고요; 저도 제 경험을 말씀드리면 .. 위와같은 거래를 많이 진행해 보았습니다. 양쪽다 이해가 가고요. 우리는 한국사람이나 유독 한국분들이 정보가 빠르고 신속합니다. 반대로 이나라 사람들은 대중없죠;;; 부르는게 값입니다. 이런거래는 제가 잘하는데;;; ㅋㅋ 아쉽네요; 그리고 정말 살생각이 있으셨으면 엔진부터 조목조목 따져보셨어야 하지않을까요? 배나 방카 거래는 볼게 많습니다.ㅋ
@ 피터피터 님에게... ㅎㅎ 약 3개월후에 다른 사람에게서 적당한 가격과 품질의 배를 구입했습니다 그것도 이해가 안가는게 그 배를 소개해준 사람이 위에 언급한 그 친구라는거죠 적재량 15톤에 frp로 바디코팅되어 있는 배를 65만 페소에 샀으니 나름 괜찬은 거래였습니다 남의 배 값은 객관적으로 판단해주면서 막상 자기배는 터무니없는 값을 부르는게 이걸 어떻게 생각해야될지 ㅋㅋ
장사라는 것은 팔 사람이 시중가보다 싸다는 생각이 들어야 구매력이 생기는 걸 알리가 없는 사람들이 많은곳이 필리핀인것이 사실인것 같습니다.그리고 그곳에 사는 한국 사람들중에 필리피노화 되어지는 사람들이 같은 생각으로 매물로 내 놓지 않나 생각합니다.그렇게 내 놓으면 팔릴리가 없을텐데요!아무튼 비즈니스도 타고나야 하는가 봅니다.10여년전에 살던 곳의 슈퍼마켓에 입점되어 있는 빵집에 걸린 플래카드의 글이 생각이 납니다."외삼촌 빵집의 빵도 싸야 사 먹는다".
@ 닥터이양래 님에게... 외삼촌 빵집만 그러겠어요 동생이 하는 빵집이라도 싸야 사먹는거죠 ㅎㅎ
@ 삼식아빠 님에게... 원하시는 스쿠터나 미니 모터 사이클 좋은 걸로 얻으시길...,
ㅋㅋ 그냥 웃지요 미친사람들 많네요
ㅋㅋ 생각이 없는거죠 그럼 배를 새로만들고 말지
@ 왓유고즈유컴즈 님에게... 배를 새로 만들면 일단 선금을 줘야 작업이 시작되서리 3달 장도 걸려야 완성됩니다 그리고 배를 만든다는게 하다보면 아주 우수한 품질의 배가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정말 뭐 이런게 있어 하고 욕이 나올 배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배를 무조건 인수해야됩니다 확률은 낮지만요 그리고 배 만든후에 등록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구요 그래서 제대로 움직이는 중고배를 구입하는게 나은 경우가 많습니다^^
조만간 나도 팔게있는데...ㅋ 욕먹는거 아니지. 뭐 한국사람한테 안팔면 문젠 안되겠네요.ㅋ
허허허 그냥 웃지요~~~
@ 필코리아 님에게... 수익 10만페소라는건 아무래도 기름값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 계산한게 아닌가 싶은데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보 ㅎㅎ 거짓말 하는 친구는 아니니 믿어주는거죠
@ 필코리아 님에게... 현지에서 운행하는 방카보트는 나무뼈대에 합판으로 마감을하고 에폭시와 페인트로 칠한것들입니바 엔진은 폐차한 트럭엔진을 가져다 재생을 해서 사용하구요 일단 바디는 매년 페인트칠을 다시해야됩니다 그 사이즈배 페인트칠 하려면대략 20갤런쯤 들구요 그러면 2만페소쯤 들어갑니다 또 엔진이 워낙 고물이라 한달에 한번이상 고장이 나는데 이러면 만페소는 우습게 깨집니다 ㅎㅎ 그리고 양쪽에 윙으로 대고 있는 대나무들도 3년이면 수명이 다해서 갈아야되는데 그 사이즈되는 배들은 개동 3백 ㅡ 5백페소짜리로해서 30개정도 들어갑니다 이래저래 따지면 그정도 비용들어가는게 맞기는합니다 ㅎㅎ
피노이들은 자기가 당한 조삼모사를 남에게 똑같이 적용 시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한국사람이 아이큐가 높다는걸 아직 모르나 봅니다..
암튼 재미나는 나라에요...ㅎㅎ
@ 주니주니랑 님에게...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당장 바랑가이캡틴 만나러 가봐야겠네요 ㅎㅎ
아... 여기친구들 계산 방식이 참 우리와 많이 다르군요 그래도 중고를 너무 높은 가격에 파네요...안타깝습니다
계산은 정확하내요. 감가상각을 몰라서 그렇지... 웃으면서 사세요. ㅎㅎㅎㅎ
필리핀 인간들 똑같아요 누구나 필리핀 사람들
방카값이 사이즈 마다 틀리던데. 잘알고 갑니다.
@ property007 님에게... 음 파는 입장과 사는 입장이 다른건 당연한 거죠 다만 그게 타당한 논리를 지니고 있어야되고 공산품인 경우는 신품의 가격과도 어느정도 형평이 맞아야됩니다 특히 전자제품과 자동차류는 매년 사양이나 성능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시간이 지난 구형모델은 가격이 떨어지는게 당연한건데 그걸 감안하지 않고 자기만의 논리로 높은 가격을 받고자 하는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서요
시세야 그나라 이야기 입니다 울 나라 생각으로 접하시면 14년 사시면서 제조업 없는 섬 나라에서 판다 가격 맞으면 사고 상식 이하면 말 할 필요도 없는겁니다.. 좋은 배 찾으시길 바래요.
어디 그것 뿐 이겠습니까 ㅎㅎㅎ 상상도 할수 없는 말들과 행동들이 나오는 그 기발한 아이디어 ㅋㅋㅋ 필리핀은 역시~!!!
당장에 중고장터만 봐도 그러죠. 얼마전에 자유게시판에 올라왔던 10년도 더되어보이던 에어컨부터 1.2M 짜리 이노바 할부금 포함해서 1.6M 에 파는 한국분도 봤습니다. 누가 딴지 거니까 현금 보유하고 있지 않고, 은행할부능력 없는 사람에게 파는거라고 당당하게 얘기하더군요. 은행할부능력 없으면 그차의 남은 할부도 인계도 안된다는걸 몰랐을까요?
터무니 없는 가격도 시간이 지나면 내려가긴 하던데.. 여유있는 현지인들은 썩어 나가도 절대 싸게 안주드라구요, 언젠간 눈탱이 맞고 사가는 사람이 반드시 오는것으로 믿는가 봅니다.
스쿠터 중고가 4만이면조금 더 보태 세거 사겠습니다.
계산법이 이상한게 아니고요 아직 그사람이 어렵지 않어서 그래요 그집에 안팔면 안되는 경우가 생기면 가격은 엄청내려가요 예를 들어서 저두 주변에서 오토바이 6개월된거 사는데 이사람이 팔지 않으면 안되는 상항이라 가격이 그사람이 사던 가격에 절반에 가까운 가격에 산적있어요 기다리면 가격은 내려가요
@ jj조 님에게... 빙고 이게 정답일듯합니다 ㅎㅎ 어떤 물건을 사고 싶을때 이런거 구한다고 소문을 내고서 돈을 가지고 기다리면 착한 가격으로 좋은 품질의 물건을 구하게 되더라구요 피노이들이 돈이 급하게 필요한 시기는 대체로 정해져있는데요 1 가족 일원이 갑자기 병이 걸린 경우 2 자식중 대학생 학비내야될때 3 삐에스따 준비할 때 대체로 이상의 경우들인데 병이나 학비는 그래도 이해가 되지만 집에 돈나가는 물건 팔아서 삐에스따 준비하는 것 보면 참 답답하더라구요
@ 삼식아빠 님에게... 돈있고 시간있으면 이기는 게임이죠
그냥 모지란것같아여 나라자체가 ㅋㅋㅋㅋㅋ
계산 하는거 보면 암걸릴거 같아요..
그러게요..생각자체가참...이해할수 없는..
10년된 펜티엄 17인치 12000페소 후덜덜하네요 완전 코메디네요
@ 세영아빠 님에게... 비슷한 사양 컴퓨터 현지 중고품 가게 가면 8천페소정도 합니다 문제는 한국 사람은 그런 중고가게가 어느 구석에 박혀 있는지 모른다는거죠 ㅋ
도둑놈 심보지요.....
일단불러보고ㅠ
일고고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참 알수없는 필리핀
이런 웃기는 필리핀에 사는 내 자신이 웃길때가 많음 그래도 살아야죠 스트레스는 좀 없으니 ㅋㅋ
인간의 상식이 통하지않는 곳입니다..
중국인들과 일부 가진자들이 만들어놓은 시장 불공정거래, 가격의 불균형 문제가 어느 나라보다 심각하죠. 돈없는 대다수 서민들의 피를 빨아 배부른 년놈들이 더 배를 불리는 돈놓고 돈먹기의 전형적인 구조인거. 공산품 가격 보세요, 어디 싸구려 허접 쓰레기같은 중국산 제품들 가격을 보고 있으면 토나올 지경이잖아요. 생산성, 자급력 등이 안되니 어쩔 수 없이 판매되는 말도 안되는 가격의 불량 제품들을 사서 쓰다보면 욕밖에 안나오구요. 제일 좋은 건 그냥 새거, 좋은거 구해다 쓰는게 제일 좋은데, 돈이 문제죠. 항상 그 놈의 돈. 에구구 ^^;
피노이들의 이해가 안되는 원가 계산법 (43)
세부에 하숙할만곳 없나요 (11)
정전이네요 (23)
uber 이용 좋네요.. (69)
DELETED (27)
세부시티에 풀빌라..구해요 (12)
막탄공항 활주로 공사 두달예정, 공항이용객 불편예상 [세부코리안뉴스 8월 5일자] (15)
DELETED (70)
중장비관련 질문있습니다~ (15)
플스4 (6)
친구를 찾습니다 (22)
세부 노스타운 리모니아 26번지 계약하면 당하는 일 (29)
영주권자 출국절차? (23)
전기세 아끼는 노하우 공유 부탁드립니다 (37)
포인트 구입 (22)
포인트 구입 (7)
달러 소량 페소로환전하기 좋은곳이 어딘지 아시는분..? (23)
창문에 붙이는 뽁뽁이 파는곳 있어요? (16)
(세부) 정전이 전기요금에 영향주나요? (16)
DELETED (14)
세부시청환경과 CCENRO, 세부시 개인/법인사업자 대상 녹지화계획 참여 요청 [세부코리안뉴스 7월 25일자] (7)
세부 금연에 대해서~ (20)
내일부터 세부도 금연인가요? (20)
조금 씁쓸합니다 (83)
DELETED (14)
막탄에 맛난 해산물 식당이 새로 생겼네요 (55)
세부LTO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을 시행하고 있어요 [세부코리안뉴스 7월 15일자] (21)
막탄 펄정육식당 이건 무슨경우인가요? (51)
골프 단톡방 (3)
DELETED (14)
세부골프동호회 개설하였습니다. (5)
DELETED (38)
사과 드립니다 . (30)
차병원 입니다. (39)
세부에는 골프동호회가 없나요? (8)
엄마들이 잘 알지 못하는 "우리아이에게 미술교육이 꼭 필요한 이유" (15)
DELETED (7)
DELETED (16)
세부 정전 (22)
방금 세부 지진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