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사람은...
어진 사람은 누구도 대적할 수 없다
인자무적(仁者無敵) - <맹자(孟子)>
<맹자>에 나오는 ‘인자무적(仁者無敵)’은 우리가 가훈이나 경구로 자주 사용하는 구절입니다. 인(仁)을 가진 자는 적(enemy)이 없다는 뜻으로 오역되기도 하는 이 구절의 본래 뜻은 ‘인(仁)을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도 대적(match)할 자가 없다’입니다. 인자(仁者)라고 적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인자이기에 시기하고 질투하는 적이 많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자는 배려와 사랑을 실천하는 리더이기에 결국 어느 누구도 대적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랑을 베푸는 사람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죠. 인은 동양의 리더들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리더십 덕목이었습니다. 특히 맹자에게 있어서 인을 기반으로 한 사랑의 정치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왕도정치의 기반이었습니다. 아무리 난세라도 따뜻한 사랑으로 뭉친 조직은 절대로 망하지 않습니다, 따뜻한 사랑의 네트워크가 어떤 것보다도 센 힘을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인자는 인정(仁政)을 베푸는 사람입니다. 창덕궁 인정전의 유래이기도 한 인정(仁政)은 따뜻한 인간애에 기초한 정치를 말합니다. 맹자의 인의 정치는 간단합니다. ‘형벌을 가볍게 하라(省刑罰)! 세금을 적게 걷어들여라(薄稅斂)! 기술개발을 통하여 백성들이 쉽게 농사질 수 있도록 하라(深耕易耨). 백성들에게 효제충신의 인간 도리를 가르쳐라(修其孝悌忠信).’ 이렇게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하면 아무리 강한 무기로 무장한 강대국이 쳐들어온다고 해도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할 것이란 주장입니다. 결국 한 조직의 힘은 무기와 자본이 아니라 사람들의 신뢰와 공감대라는 것입니다. 신뢰와 공감은 사랑의 실천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仁者無敵
인 자 무 적
어진 자는 대적할 수 없다.
맹자의 이 철학을 요즘 시대에 적용시킨다면 국가의 권력을 최소화하고 민생안정에 주력하며 나아가 윤리와 도덕을 실천하는 국민들이 있는 나라는 어떤 나라도 대적할 수 없다는 뜻일 겁니다. 배려와 사랑이 가득한 인의 정치! 시대와 공간을 추월한 아름다운 정치의 모습입니다. 배려로 인생을 사는 사람은 그 누구도 대적할 수 없습니다.
따뜻한 사랑의 바이러스가 온 세상에 가득하면 태평성대입니다.
仁 者 無 敵
어질 인 사람 자 없을 무 대적할 적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