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아가고....
나아가고 물러날 때를 알아야 한다
덕미이위존(德微而位尊) - <주역(周易)>
고위 공직자가 되는 조건 중의 하나가 바로 그 직위에 맞는 인격과 능력입니다. 공직자로소 사회적 책임과 지위에 따른 능력에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면 그 지위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공직자가 된다는 것은 그만큼 높은 도덕적 기준과 잣대가 적용되기에 더욱더 신중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주역>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도덕성에 비해 너무 높은 자리에 오르려 하거나 넘 큰일을 도모하려 하면 반드시 큰 화를 입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과 그릇에 맞지 않으면 어떤 높은 지위라도 넘보지 말라는 것입니다. 능력과 자격이 안 되면 아무리 높은 자리에 불러도 가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세상을 살다 보면 해서는 안 될 것이 참으로 많습니다. 가서는 안 될 길도 있고, 올라가서는 안 될 자리도 있습니다. 들어서는 안 될 이야기도 있고, 보아서는 안 될 일도 있습니다. 모두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분수에 넘어서는 해동을 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아무리 높고 좋은 자리가 있어도 자신이 능력과 도덕성을 스스로 비추어 보아 내 역량을 넘어선 자리라면 스스로 사양하고 포기할 줄 아는 혜안과 결단이 필요합니다. ‘진퇴유절(進退有節), 나아가고 물러남에 절도가 있어야 한다!’ 옛날 선비들이 늘 가슴속에 새기며 살았던 삶의 철학입니다. 절(節)은 대나무 마디입니다. 대나무는 마디가 있어 옹골차게 높이 자라듯이, 우리 인생도 나아감과 아울러 물러남이 있어야 더욱 옹골찬 인생이 될 것입니다.
德微而位尊, 智小而謀大, 無禍者鮮矣
덕 미 이 위 존, 지 소 이 모 대, 무 화 자 선 의
인격은 없는데 지위는 높고,
지혜는 작은데 꿈이 너무 크면
화(禍)를 입지 않는 자 드물 것이다.
나아가고 물러남이 분명하다면 인생에 화를 당하는 경우가 없을 것입니다. 물러나야 할 때 나아가려고 하고, 나아가야 할 때 물러나는 것은 인생의 화를 자초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진퇴(進退)를 잘못 알고 경거망동하였다가 쌓아놓은 모든 것이 무너져 버린 사람들을 참 많이 봅니다.
내 그릇의 용량을 정확히 알고 살아야 합니다.
德 微 位 尊
덕 덕 미세할 미 자리 위 높을 존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