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영유권 분쟁에 필리핀 '어부지리'
최근 동중국해 일부도서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에 진출한 상당수 일본기업들이 생산시설을 필리핀 등지로 대거 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리핀 ABS-CBN방송 등은 9일 부동산 컨설팅업체 CBRE를 인용, 중국내 일본업체들이 최근 필리핀으로 몰려오면서 경기가 되살아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필리핀에 이미 진출한 일본업체들 역시 생산시설을 대폭 확충할 움직임을 보이는 등 이 곳을 사실상 생산기지화하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릭 산토스 CBRE 필리핀 법인장은 많은 일본업체들이 필리핀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중국에 진출한 일본업체들이 현지 당국의 처우에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생산시설을 필리핀으로 추가 이전하려는 일본 자동차업체들과 공동으로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필리핀이 최고의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토스는 필리핀의 경우 부동산 가격 등이 인접 경쟁국들보다 저렴해 상당한 투자매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마닐라의 경우 ㎡당 연간 사용료는 약 8.66달러로 싱가포르(187.42 달러)와 방콕(13.38달러)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CBRE는 기존 산업공단 입주업체들 역시 대부분 시설을 확충하는 단계로 상당수 업체들이 시설 확충을 위해 부동산 확보에 매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CBRE 측은 최근들어 생산시설 부지를 확보하려는 일본 투자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 등지의 생산시설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같다고 설명했다.
일본업체들은 기존의 핵심 투자지역 외에 클라크와 수비크만 자유항 지역의 부지 확보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기업들은 최근 베트남 투자도 대폭 확대, 베트남이 올들어 유치한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약 30∼4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공적 개발원조(ODA)와 도로와 항만 개발 등 초대형 인프라 사업을 상호 연계, 진출하는 한편 베트남의 경제발전 마스터 플랜 수립도 측면 지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