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주격는 복통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대부분 배가 아프면 위장이 문제가 있는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지만 복통도 아픈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로 병을 생각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어디까지 일반적으로 가능성을 이야기 하는것이지 정확한것은 병원에
가셔서 진찰을 해보셔야 정확한것입니다.
여기서는 단지 예측할 수 있는 병의 종류를 알아 보겠습니다.
 
복부의 내장은 피부에 비하면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여러 자극에 민감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염증, 허혈, 종양의 신경 침범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복부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말 그대로 복부의 통증을 말하며 주로 소화기 질환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증세입니다.
일반적으로 어느곳이 아픈가에 따라 다양한 진단이 가능하므로 복통의 부위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또한 복통의 정도와 유형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각 질환별 복통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위부분의 통증
1) 복부팽만
위에 위산이 훈증하여 가스가 되어 위에 가스압력으로 배가 빵빵하면서 소화가 안된다고 느끼면서 
아픕니다. 이럴때 많은 분들이 소화제를 복용하시는데, 우리가 소화가 안되는것은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것이 아니라 설사가 소화가 안되고 그냥 밖으로 배출되는것입니다.
복부팽만에는 위산을 중화 시키는 제산제(겔포스나 게비스콘등)를 복용하여 완화시킵니다.
2) 위경련
위경련은 위의 민무니근이 쉬운말로 쥐가 나는것입니다. 같은 종류의 경련으로 장경련,자궁경련도
같은 것으로 같은 약을 복용합니다. 장경련은 배꼽우위가 쥐어짜듯이 아픈증상입니다.
자궁경련은 생리통이 자궁경련입니다.
치료제로서는 진경제를 복용해서 통증을 완화 시킵니다. 
3) 위쓰림
위가 쓰린것은 위벽이 얇아 지거나, 위에 상처가 생기면 위산이 그곳을 자극하여 느끼는 통증으로
주로 식후 30분이나 새벽이나 스트레스후 공복에 잘 나타납니다.
치료제로서는 위산을 억제하는 약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여 치료를합니다.
이 증상의 원인으로  부루펜계열의 진통제를 장기간으로 복용했을 경우 이 진통제의
작용기전이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차단을 해서 통증을 줄이는데 부작용으로 위벽을 
보호하는 위액도 같이 차단을 해서 상대적으로 위산이 많아져서 위벽이 얇게 되어서 발생도 합니다.
더 자세한것은 다음 위장관에대해서 한번 다루어 보겠습니다.
2. 급성 충수염
초기에는 흔히 명취부위에서 통증을 느끼지만 점차 아랫배의 오른쪽(우하복부)으로 통증이 이동되어 갑니다.
3. 담석
심한 통증인 경우가 많고, 중년이후의 살찐 여성이 지방질이 많은 식사를 한후 흔히 발생합니다.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는 주로 명치 혹은 그보다 약간 오른쪽에 위치하며,수분 간격으로 점차
심해지고 주기적으로 진행됩니다.
4. 췌장염
통증은 가벼운 것부터 심한것까지 그 정도가 다양하지만 대개는 명치의 약간 왼쪽에서 일어나고
심한 경우에는 어깨나 등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다량의 알코올을 섭취한 후 과식 (특히 지방질이
많이 포함된 식사) 을 할경우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5. 우 상복부통
담석 담낭염등 담낭의 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고, 오른쪽 어깨에 퍼지는 통증이 동반됩니다.
간염등에서는 둔통 (둔하고 무지근하게 느끼는 아픔)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통증이 있을때에는
간비대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간이 문제가 있을때는 먼저 좌측갈비뼈 밑에 있는 비장이 먼저 통증을 느낍니다.
똑바로 누워서 좌측 갈비뼈를 따라 눌러보아서 아픈 부분이 생기면 비장이 부은것으로 비장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간의 문제로 간문맥이 막혀서 간고혈압으로 비장종대로 비장이 아픕니다.
간에 대한것은 나중에 한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6. 좌 상복부통
심한 복통이라면 좌측 신결석인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급성 췌장염등의 소화기 질환인 경우도 있습니다.
7. 우 하복부통
급성일때는 충수염 ( 맹장염 )인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는 장결석, 대장암인 경우도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월경곤란증, 자궁근종, 자궁외 임신, 임신, 난소 질환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8. 전복부통
위장관의 천공, 급성복막염, 장간막 혈전등이 일반적으로 급성복통에 해당되며 심한 통증을 일으킵니다.
이외에도 급성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장 폐색등의 질환도 복부 전체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련 신체 기관
소화관 (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 담도 ( 담낭, 담관 ), 췌장, 비뇨기 ( 신장, 요관, 방광,) ,생식기 ( 자궁, 난관, 난소 )
 
다시 간략하게 요약하면
1) 우측 상복부 : 간 이상
2) 좌측 상복부 : 췌장 이상
3) 명치 부위    : 위 이상
4) 우측 하복부 : 맹장 이상
5) 좌측 하복부 : 결장 이상
6) 배꼽 부위    : 소장 이상
7) 하복부        : 생식기 이상
8) 복부 전반    : 전반적 이상
 
치료
대부분의 급성 복통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즉각적인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 초기에 주의 깊게
진단해야 합니다.
 
이상 복부의 통증으로 예상해 볼 수 있는 병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질병없는 한해를 기원하면서 ...
미력하나마 몇자 적어 보았습니다..
궁금하신것이 있으시면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올티가스약사 올림
 
0915-302-6000. 0999-310-6000. 02-547-1793. ORTIGAS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