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모로 기본법안'에 대한 주민찬반 의견 물어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일부 지역에서 21일 무슬림 자치 지역과 권리를 확대하는 법안에 대한 주민들의 찬반의견을 묻는 국민투표가 삼엄한 경계 속에 진행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지난 반세기동안 이어져온 분쟁과 유혈충돌이 끝날 수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다나오의 한 주민은 이날 AF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20년전 내 아버지가 (유혈충돌로) 살해 당했다. 나는 폭력에 지쳤다"며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선관위는 이번 투표에 약 280만명의 주민들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종 개표결과는 26일쯤 발표될 예정이다. 만약 가결되면, 2월 6일 라나오 델 노르테주와 노스 코타바토 주 7개 도시에서도 무슬림 자치지역에 합류할 것인지 여부를 가리는 국민투표가 치러진다. 지난 2014년 필리핀 정부와 최대반군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은 유혈충돌을 중단하는 것을 골자로 한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이어 지난해 필리핀 의회는 일명 '방사모로 기본법안'을 가결했고,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도 이 법안에 서명했다. 방사모로란 필리핀 내 무슬림 소수민족 '모로인들의 국가'란 뜻이다. 이런 와중에 지난 2017년에는 극단이슬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추종세력이 민다나오 마라위를 점령하고 5개월간 정부군과 교전을 벌이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무슬림 테러를 해결하기 위해선 민다나오 섬의 무슬림 자치정부를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번 국민투표는 '방사모로 기본법안'의 수용 여부를 주민들이 결정함으로써, 민다나오를 둘러싼 오랜 갈등을 종식하기 위한 절차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있다. 모로족 반군조직의 지도자인 알 하즈 무라드 에브라힘은 무슬림 자치권 확대만이 IS 추종 급진 세력들을 막고 갈등을 종식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주장해오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무슬림 반군들은 분리독립을 포기하는 대신 보다 광범위한 자치권을 갖게 된다. 약 3만명에 달하는 MILF 대원들은 해산해 민간인으로 새 삶을 시작한다. 중앙 정부는 무슬림 자치 지역의 발전을 위해 10년에 걸쳐 9억5000만달러를 지원하게 된다. 자치 정부는 지역내 자원 개발권도 갖는다. 경찰 등 치안권은 중앙정부가 유지하지만, 자치정부도 치안 유지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