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 Number Sign In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한국만의 특수성이 아닌가 싶어요. 제 와이프가 한국에 대해 이야기 할땐 꼭 금모으기 운동을 이야기 합니다. 한국 사람의 국민성은 그렇다고... 독일에 사는 후배 녀석도 항상 독일 공무원은 칼같이 퇴근하고 주말이나 연휴에 마비가 되며 당직근무나 이런건 거의 찾아 보기 힘들다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한국처럼 지하철 역무원이 늦게까지 있는 나라는 보질 못했다고... 이렇게 일처리 빠른 나라는 세계에 한국이 유일하다 라는 그런거?? 외국에선 공무원들도 인간이니 위험상황에선 대피해야 하고 자기 생활은 보장해줘야 한다는 인식이 더 큰거 같습니다. 다만 책임져야 하는 부분은 좀 다른거 같습니다. 연평해전때였나? 전방에 비상이 걸려서 출동했던 한국 사병 이야기는 엄청 유명하죠. 일개 사병이였던 그 사람이 전화 대기를 하고 있는데 미군은 스타급이 와서 전화 대기를 하더랍니다. 그래서 이런 일로 너같은 장군이 왜 오냐? 묻자 비상이 사태시 자기는 자기 역량으로 판단해서 대처하고 나중에 보고 할수 있지만 사병이 대기하면 위로 보고하고 다시 상급자가 위로 보고한후 명령이 내려오는 시간을 또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책임자가 나오는게 낫지 않을까? 라는 답변을 했다고 하네요. 물론 필리핀이 미국같진 않겠지만 한국과도 다른 부분이 있는거니까요. ^^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맞는 말입니다. 내 생각과 내 잣대와 내가 살아온 경험만이 맞다는 전제하에 모든것을 바라보면 어느나라에 살든지 이해하지 못하고 불평 불만이 쌓이게 됩니다.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공감가는 얘기네요.
경찰이 돈 안주면 도둑 안잡는 나라.
@ 단칼 님에게... ㅋㅋ 정답이네요
@ 단칼 님에게... 100%맞는말입니다 ㅠㅠ ,
공무원도 가족이 있는데 내 가족이 우선 아닌가요?
문화적 차이 아닌가 싶네요. ^^ 혹시 미국이나 유럽 쪽은 재난시 어떻게 하나요? 궁금하네요
이해가고 공감가는 말입니다 그외 여러모로 이해가 안가는 필리핀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한 사이트의 관리자 이신데... 뉴스나 정보는 좋겠지만 개인적인 의견이라하면서 관리자 이름으로 글을 올리시면 공감이 가는 글이라도 보는이들의 시각에 따라 좀 불편할 수 있다 생각이 드네요
매년 반복되는 재해죠 그렇다고 한국같이 교도소 딸려들어가는 공무원도 없고 그래서 계속 반복되죠 국민들또한 이런행정에 적응이 되어서 수해가 나면 수해구나 걍 시간아 흘러라 그러죠
이런 저런 이유가 있겠지만, 그래서 후진국이 아닌가 합니다.
이해할수없어요 정치글 아니고요 맞다고 해도 주구장창 올라오는 정치글때문에 짜증나서 몇 자 적습니다. 가. 어떤 년놈들이 더 나쁠까요? 1. 대놓고 나쁜놈들 2. 앞에선 온갖 정의와 청렴을 외치지만 알고보면 1번 놈들과 다를바 없는놈 나. 전쟁이나면 누가 우릴 도와줄까요? 1.미국 2.러시아 3.중국 4.일본 5.북한 다. 역사적으로 어떤 국가들이 번영하고 국민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었나요? 1. 자본주의/민주주의 2. 공산주의/사회주의 라. 공무원만 늘리고 포퓰리즘 정책만 펼치던 나라는 지금 잘 살고 있나요? 1. 예 2. 아니오 마. 돈받고 자살하면 신격화 존경받아야할 사람인가요? 1. 예 2. 아니오 사. 니가하면 블랙리스트 내가하면 체크리스트를 두고 뭐라고 하나요? 내0남0 아. 우리(대한민국)의 주적은 어디인가요? 1. 미국 2. 일본 3. 중국 4. 북한 자. 다음중 개인 사리사욕을 위해 민간인을 세뇌시켜 독재한(하고) 사람은 누구인가요? 1.박정희 2.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모택동 4.오바마 차. 한국전쟁당시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걸고 싸워줬던 국가는 어디인가요? 1.중국 2.미국 3.러시아 4.일본 카. 조선시대 노비와 일제시대 노비(서민)중 누구의 삶이 윤택했을까요? 1. 조선시대 2. 일제시대 타. 투표만 했다하면 90%이상 몰표가 나오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1. 경상도 2. 서울 3. 전라도 4. 경기도 파. 518유공자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공개도 거부하고 있는데 이유는 뭘까요? 1. 유공자가 환생해서 2. 엉뚱한사람이 유공자로 채택되서 하. 4대강사업 보 해체한다고 하는데 이유는 뭘까요? 1. 수재민이 계속 발생해야 하는데 4대강 사업 이후 발생치 않아서 2. 농지에 가뭄이 생겨야하는데 생기지 않아서 3. 수질이 4대강사업이후 나빠져서 4. 흔적을 지우기 의해서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교다닐때 열심히 공부하고 남들보다 더 노력해서 좋은대학 나오고 좋은직장에 취직하여 아껴고 모아서 부자된 사람이랑 학창시절 데모나 하고 적당히 여자들 강간이나 하다가 머리에 띠 두르고 기업&부자는 나쁜놈 도둑놈 이라 외치는 사람들중 누가 나쁜놈일까요
@ 원페소 님에게... 어려울것도없습니다 생각있는사람들은 다아시겠지여. . .
갑질에나라 필리핀.. bdo은행창구6개인데 2개만열어놓고 고객들 줄쫘악세워서 기다리게하는나라 고속도로톨게이트도 걸핏하면 이상황 짜증폭팔ㅋㅋㅋ
@ jinair003 님에게... 동감합니다. ㅠㅠ
필리핀은 가족이 직장보다 더 중요하고요. 비 많이 오면..출근 안하려고 하는게 다반사입니다. 즉.. 재난이 나면.. 자기 가족 지키러 집에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게 피노이들의 기본 마인드입니다. 천재지변이 많은 필리핀에서 사업이 제대로 될리가 없지요
필리핀은 재난 대처 부서(?)가 별도로 운영됩니다. 한국처럼 모든 부처의 공무원이 동원되지 않는 것 같아요.
음 각나라별 행동? 관습은 다른법이죠. 국민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의 개념은 여기가 한국과 많이 다른듯합니다. 굴러들어온 돌로써 먼저 충분히 이해하려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윤영규(83년생) 님 연락 주세요. (4)
rose laus조회 40,472레벨 1필리핀 수출 車 관세 없어지고… 수입 바나나도 폐지 (7)
필뉴스조회 27,479레벨 10평생사주 스님 무료사주 풀이 총운 (2)
dnstp2027조회 23,776레벨 1blined and blocked (1)
돈세탁합니다조회 28,145레벨 1blined and blocked
돈세탁합니다조회 27,353레벨 1blined and blocked (6)
돈세탁업체조회 27,765레벨 1고) 지익주님의 억울한 죽음. 3주기 추모식 소식. (32)
필뉴스조회 68,395레벨 10올메디컬, 올메디 코인 발행...필리핀 진출 준비 (5)
필뉴스조회 53,432레벨 10평창군 필리핀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 (10)
필뉴스조회 63,428레벨 10인천공항, '17조' 필리핀 신공항 사업제안서 제출 (15)
필뉴스조회 62,571레벨 10필리핀 외국인 관광객 중 한국인 가장 많아 (34)
필뉴스조회 64,588레벨 10이해 할 수 없는 필리핀 행정 (19)
필뉴스조회 67,043레벨 10121㎝ 작은 키…필리핀 동굴서 '신종 인류' 화석 발견 (7)
필뉴스조회 77,191레벨 10필리핀 고등교육위, 한국 SW역량평가 적극 도입 (2)
필뉴스조회 61,378레벨 10여자 골프 세계 랭킹 1 위. 필리핀에서 특급 대우 받아. (6)
필뉴스조회 60,175레벨 10한국청소년진흥협회, 코피노 아동 돕기 위해 첫 발 (6)
필뉴스조회 65,773레벨 10필리핀, 보라카이 호텔·리조트 운영 허가 9곳 추가..."입도시 허가 숙박 바우처 필요" (3)
필뉴스조회 63,228레벨 10필리핀 전 경찰청, 마약 전쟁 중에 발생한 수많은 죽음에 용서 청해. (5)
필뉴스조회 54,565레벨 10필리핀, 담배값 기름값 새로운 세금 적용 (11)
필뉴스조회 56,763레벨 10외교부, 필리핀 일부 지역 여행금지 6개월 연장 (4)
필뉴스조회 60,126레벨 10싸이메디, 필리핀 시장 공략 본격화 (2)
필뉴스조회 60,614레벨 10신한은행, 필리핀 메트로뱅크와 업무 협약 체결 (1)
필뉴스조회 52,423레벨 10외국인 등록자, 이민청에 온라인으로 연례 보고서(Annual Report) 제출 후 이민청 방문필요 (6)
필뉴스조회 53,428레벨 10퓨전데이타 - 사업 해지에 따른 필리핀에 보상 요구 가능성? (1)
필뉴스조회 62,362레벨 10외국인 고용허가(AEP) 관련 설명회 개최 (1)
필뉴스조회 58,663레벨 10인프라 황금기 여는 필리핀 (7)
필뉴스조회 59,138레벨 10한국 이마트 필리핀에 진출 (18)
필뉴스조회 58,688레벨 10헬퍼님들도 이젠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나 봅니다. (20)
TEDDY조회 59,780레벨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