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에서 결혼식에 축의금 얼마나 내시나요? (60)


중화요리희래등
File 1

일생에 한번 모두의 축복을 받는 자리

결혼식입니다.

 

필리핀에서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나 내시나요?

 

제 경우 친하면 4000페소

보통사이라면 2000페소

필리핀 친구라면 1000페소정도합니다.

 

아래는 한국 축의금 관련 기사입니다.

http://www.fnnews.com/news/201507020824207790

 

미혼남녀의 결혼식 축의금 책정 기준은?

 

지인이 결혼을 할 때 결혼식장이나 결혼식 수준에 따라 축의금도 달라질까. 미혼 남녀 절반 이상이 지인의 호화로운 결혼식을 올리더라도 축의금의 수준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힌 가운데 그렇지 않는 경우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가 결혼정보업체 온리-유와 공동으로 미혼 남녀 548명(남녀 각 274명)을 대상으로 '지인의 결혼식 축의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지인이 일류 호텔 등에서 결혼식을 호화롭게 올리면 축의금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에 대한 질문에 남녀 모두 응답자의 절반 이상(남 52.9%, 여 50.4%)이 '평소와 같다'고 답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평소보다 많이 낸다'는 응답자도 남성 40.9%, 여성 45.6%로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평소보다 적게 낸다'는 대답은 남녀 각 6.2%와 4.0%에 불과했다.

손동규 비에나래 대표는 “지인이 호화로운 장소에서 결혼식을 올릴 경우 지급할 축의금 수준이나 참석 여부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라며 “최근에는 하객으로서 축하하는데 의미를 두는 비중이 높으나 결혼식장 등에 따라 체면치레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축의금은 무엇을 기준으로 책정하게 될까. 남녀 모두 '상대와의 친분'(남 35.0%, 여 36.9%)을 첫손에 꼽았다.

201507020829287340_l.jpg

 

이어 남성의 경우 '그동안 주고받은 거래내역'(29.9%), '본인의 자금사정’(20.1%)', '결혼식 장소, 수준'(15.0%) 등의 순이라고 답했다.

 

여성들의 경우에는 ‘결혼식 장소, 수준’으로 답한 비중이 27.4%로서 상대와의 친분 다음으로 많았고, 그 외 ‘그동안 주고받은 거래내역’(22.3%)과 ‘본인의 자금사정’(13.4%) 등이 뒤를 이었다.

이경 온리-유 총괄실장은 “축의금을 결정할 때는 당사자와의 관계가 가장 크게 고려된다”라며 “친분이 깊은 경우 축의금을 좀 더 많이 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일정 수준에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라고 현상을 설명했다.

 

헐..시골은 친해야 500페소 그렇잔으면 100페소 200페소인데 축의금이 도시라그런지 너무 쎕니다.^^&

<p>@ 용과 님에게...</p> <p>필리핀 스러운 가격입니다.</p> <p>저도 그 가격으로 내도 욕 안먹겠죠...ㅎ</p>

P

<p>많이주시네요.</p>

<p>@ parmirs 님에게...</p> <p>일년내내 결혼식에 갈일이 1번 있을까 말까합니다...ㅠ</p> <p>아는 사람이 적어서요.,..ㅠ</p>

<p>저는 만페소 했습니다. 니농 니낭이라서.</p>

<p>@ 모퉁이 님에게...</p> <p>.</p> <p>니농. 니낭이면..</p> <p>대부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p> <p>대부 대모는.. 좀 피곤하네요..</p> <p>집안에 행사가 있을때 뿐 아니라</p> <p>이것저것..</p> <p>좀 나가는것 같네요</p> <p>천주교 문화라.. 그냥 그려려니 하고 사네요..</p>

<p>스폰서의 개념이라서 그렇게 해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많이 고민 했습니다. 없는 살림에</p> <p>머니 댄스도 있더라구요. 외국인이 준것을 확실히 알리려고 한국돈으로 꼽아 주었습니다.</p> <p>@ 심연 님에게...</p>

<p>@ 모퉁이 님에게... ㅎㅎ 한국돈이면 훨씬 커보이겠네요 ...</p> <p> </p> <p>환전할려면 ㅎㅎ</p>

<p>@ 모퉁이 님에게...</p> <p>역시 많이 하시는 분이 계셨군요...ㅎ</p> <p>다들 일생에 한번인지라 많이 하는 경우도 있으신듯합니다..ㅎ</p>

<p>파티 비용ㅇ 엄청 나와서 보통 니농 니낭 이라고 대부 대모가 비용을 나누어 낸다고 하더라구요. 저희도 삼고초려 했습니다.@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p>

<p>정확한 잣대는 없지만 형편에 맞쳐서 하면 제일</p> <p>좋겟죠 ㅎㅎ</p>

<p>@ 한베이 님에게...</p> <p>맞습니다...ㅎ</p>

저는 필리핀에서 누구 잔치한다고 미리 약속 잡아보면...축의금때문에 그런지 날짜가 가까워 올수록 하나 둘 셋... 점점 인원이 줄어서 막상 가는 날보면..서너명만 되드라구요. 허나 뿌린데로 거둔다는 말 맞는거 같습니다. 본인이 참석 잘 안하니..남도 참석 잘 안하는거고...뿌린게 없다보니 거둘게 없는거 맞는거 같네요.

<p>@ 어리버리ㅋ 님에게...</p> <p>뿌린대로 거둘 수 있는 환경인가요?</p> <p>필리핀이...??</p> <p>글세요....ㅠㅠ</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 굳이 그런생각하면서 살면 머리아프고 힘들지요</p> <p>그냥 주는기쁨으로 살기로 했습니다...</p>

<p>@ 에피소드 님에게...</p> <p>네 맞는 말씀같습니다...ㅎ</p>

<p>축의금은 위에 용과님과 비슷한데..</p> <p>축의금보다.. 찾아오는 친척이 무섭죠..</p> <p>아예 금액을 정해서 오고..</p> <p>며칠씩 집에 머물면서 먹고자고</p> <p>집의 설거지 청소를 해대니..</p> <p>오히려 없을때 안올때가 깨끗한데..</p>

<p>@ 심연 님에게...</p> <p>그런일이....ㅠㅠ</p>

S

<p>글세요. 저는 그냥 그때그때 다릅니다 ㅎ</p> <p> </p> <p>친밀도에 따라서 ㅎ ㅎ</p>

<p>@ sydneyhotel 님에게...</p> <p>빙고같습니다.ㅎ</p>

G

<p>아직 경험이 읍서서요 ㅠ</p> <p>앞으로 있을런지 ㅠ</p>

<p>@ GSmart 님에게...</p> <p>조만간 경험이...ㅎ</p>

<p>저는 20년 전에 필리핀 친구의 결혼식에 500페소를 했었습니다.</p> <p>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2000페소 정도의 금액입니다.</p> <p> </p>

<p>@ 미니필립 님에게...</p> <p>지금은 얼마하시나요?</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 현지친구들에게는 500~1000 페소정도 하는데 별 무리없어 보이더라고요</p>

<p>@ 에피소드 님에게...</p> <p>네 그렇군요....</p> <p>저도 할때는 그렇게 해야겠습니다..ㅎ</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지금은 한국에서 살고 있어서 축의금 할 기회가 없습니다.</p> <p>만약 지금도 한다면 친분의 관계 정도에 따라서 500페소 1000페소 2000페소</p> <p>정도의 축의금을 할 것 같습니다.</p> <p> </p>

<p>@ 미니필립 님에게...</p> <p>네 역시....ㅠ</p> <p>다들 비슷하게 생각하시네요...ㅎ</p>

<p>천페소에서 2천페소 사이가 적당하지 않을까요.</p>

<p>@ 龍 님에게...</p> <p>로컬은 1000페소</p> <p>한국인끼리는 케이스바이 케이스</p>

<p>@ 꿀마사지 님에게...</p> <p>좋은 의견감사합니다.</p>

<p>글을 읽어보니 지지리도 못사는구먼...!</p> <p>돈의 값어치를 얼른 깨달아야 되는데....</p>

<p>@ 포인트수집가 님에게...</p> <p>뭔말인지?</p>

<p>여기 깡촌에서는 친족이면 1천, 아주 친하면 500,보통은 200~300 으로 해결 합니다</p> <p>모든 경조사에 동일하게 적용되는,,,</p>

<p>@ 삿갓 님에게...</p> <p>역시 나름의 룰이 있네요?</p>

<p>많이 주면 좋겠지만,형제 자매가 아니라면 한국에 맞춰서 해도 무리는 아닐듯 합니다. 그냥 아는 사이라면 2000php를 넘기지 않는 선에서 말이네요!</p>

<p>@ 닥터이양래 님에게...</p> <p>네 2000페소 이상은 조금...</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p> <p>질문을 하고나서 보니 앙헬레스라고 되어 있네요! 필리핀 들릴때 앙헬에 꼭 한 번 가볼려고 하네요!애들과 처가 짜장면과 탕수육을 좋아 합니다.</p>

<p>@ 닥터이양래 님에게...</p> <p>네 감사합니다.</p> <p>한번 오시면 잘해 드리겠습니다.</p> <p>필고에서 보고 왔다고 해주세요..ㅎㅎ</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p> <p>희래등이름이 참 마음에 드네요! 중국음식점에 딱입니다.제 이름에도 來자가 들어 간답니다.어디에서 하시나요?</p>

<p>@ 닥터이양래 님에게...</p> <p>팜팡가 앙헬레스의 프렌쉽입니다.ㅎ</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p> <p>마누라는 지금 필리핀에 있습니다.장사를 하기위해 물건을 사러 간 것이랍니다.금년 말엔 같이 가려 했는데 좀 더 늦어질것 같네요!가게 되면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p>

<p>@ 닥터이양래 님에게...</p> <p>감사합니다....ㅎ</p> <p>해병 전우이신듯합니다...ㅎ</p>

<p>@ 중화요리희래등 님에게...</p> <p>오래된 해병이 되었네요!세월이 야속합니다. 병 392기입니다.</p>

<p>축의금 왜 네요?? 매번 오래서 가지만 한번도 낸 적은 없네요 ... 친구들끼리 돈 모아서 선물 사준거 빼고는 기억이... 그리고 축의금 문화는 이곳에서는 해당이 아니더라고요... 주로 스폰서(가족 친지 대부) 모아서 주기도 하고 그렇지 하객이 돈내는거는 보지 못햇네요</p>

<p>@ 노노노노 님에게...</p> <p>역시....</p>

<p>시골은 3백페소도 가족 친인척이나 그정도입니다 지인은 100페소 200페소</p>

<p>@ 나라사랑합시다 님에게...</p> <p>굿....ㅎㅎ</p> <p>부럽습니다....ㅎㅎ</p>

J

<p>전 친한 사람이면 3천에서 5천페소 사이합니다.</p> <p>그 외에는... 천페소 내외입니다.</p>

<p>@ JerradKim 님에게...</p> <p>역시...저는 아직...ㅠ</p>

<p>필리피노 경우 : 직원 2,000 / 친구 1,000 / 아는 사람 500</p> <p>필리핀에서 한국인 결혼 : 친구 5,000 / 지인 2,000</p>

<p>@ 산적두목 님에게...</p> <p>가격이 상당합니다...ㅠㅠ</p> <p>한국에 비하면 그렇지만요...ㅠㅠ</p>

<p>전 내본적이 없네요..</p> <p>가본적이 없으니 ㅜㅜ</p>

<p>@ 단한번 님에게...</p> <p>앞으로 좋은 일로 가시기를.....</p>

축의금 .팁 얼마가 기준이있나 싶네요 한국에서처럼하면 될거같은데요

<p>@ 스윙 님에게...</p> <p>다들 나름의 기준으로 하고 계시네요...ㅎ</p> <p>참 상식이 있는 나라여야하는데...ㅠ</p>

<p>전 축의금 내기가 참 애메해서 그냥 선물을 했습니다</p> <p>축의금보다 더 들수도 있지만 얼마나 해야할지 몰라서</p> <p>그럴땐 선물도 괜찮을듯 합니다ㅋ</p>

<p>@ 비상탈출 님에게...</p> <p>좋은 생각이십니다...ㅎ</p> <p>저도 나중에 함 도전...ㅎ</p>

K

저의 마누라도 친한 친구 결혼식 가면서 보온병 한개 사가지고 가더라구요 한개 500페소 이하로 준비하던 것 같은데 천차만별이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