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바이어 “韓 화장품 굿” (2)


유행 민감한 젊은 여성층 공략 꾸준한 홍보와 제품 공급 필요    필리핀 여성들은 흰 피부를 선호하는데 얼굴이 흴수록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높다는 통념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현지에서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인기가 올라가면서 얼굴이 하얀 한국 연예인의 메이크업 스타일이 빠르게 확산되고 덩달아 한국산 화장품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다. BB 크림의 경우 대형 유통업체와 백화점에서 취급하며 수요가 날로 늘고 있다. 마닐라 무역관이 필리핀 바이어에게 한국산 화장품의 가능성을 타진해 알려왔다.   - 필리핀의 화장품 수입시장 동향은? ▲ 지난해 총 수입금액은 5000만 달러를 약간 웃돌았다. 인근국인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가 1~3위를 차지하며 한국은 15위를 기록했다. 한국산은 한류 확산과 더불어 2009~2011년 중 상승세를 보였다. - 필리핀 화장품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은? ▲ 2010년 필리핀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한 폰즈는 강한 브랜드 파워와 함께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생산에 따른 저렴한 가격에 힘입어 오랫동안 소비자에게 좋은 평을 받으며 두터운 소비층을 보유하고 있다. 미백 기능성 제품이 여전히 가장 인기이며 색조 화장품도 유행에 따라 색의 종류가 바뀌기는 하나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슷한 기능을 가진 제품이 많이 출시되다 보니 성능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보고 구매하는 경향이 강하다. - 주목할 만한 새로운 트렌드는? ▲ 몇년 전부터 불기 시작한 한류 열풍으로 한국산 화장품에 관심을 보이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필리핀 업계는 시장선점을 위해 한국산을 많이 찾는다. 더페이스샵, 라네즈 등 이미 독자적으로 진출해 이름이 알려진 브랜드도 다수 있고 조만간 직접 진출 예정이거나 현지 에이전트의 도움을 받아 런칭을 준비 중인 제품도 있다.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제품들을 작은 크기로 생산해 하나로 묶음 포장한 제품이 편의점이나 대형 마켓 등에 소개되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 회사도 현재 한국 기업과 함께 묶음 상품을 개발 중이다. - 경쟁국과 비교해 한국 제품이 취해야 할 포지션은? ▲ 화장품의 경우 선진국 유명 브랜드들이 동남아나 중국 공장 등을 이용해 이미 고품질의 저렴한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지에 따른 비교는 무의미하다. 화장품은 소비층이 개인의 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나이나 연령대, 취향이나 선호도에 따라 나뉘는 품목이기 때문에 소수의 고소득층을 겨냥한 프리미엄 전략이 아닌 이상 시중에 나와 있는 제품 중 콘셉트와 목표 소비층이 비슷한 모든 제품들과 경쟁해야 한다. 한국 제품은 유행에 민감한 10대 여성, 소득이 발생해 구매력이 증가하고 본격적으로 외모를 가꾸기 시작하는 20~30대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것이 좋다. - 필리핀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이 유의해야 할 사항은? ▲ 한국산 화장품의 인지도와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작 단계임을 기억하고 처음부터 무리하지 않고 계획성 있게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첫 단계인 필리핀 진출에 일단 성공하면 가장 중요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단계’를 맞이하게 된다. 이때는 이미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층을 확보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선진국 제품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꾸준한 마케팅 작업이 필요하다. 한때의 유행 몰이에 그치지 않고 오랫동안 시장에서 선택받기 위해서는 제품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현지인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표 소비층별 트렌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 흐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뒷받침돼야 한다.

까칠도남

한국화장품은 중국에서도 인기입니다........

오오

애터미... 다단계....

정보

Page7of15, total posts: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