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초보 필리핀정착민들......집 선택할시에 주의점..... (48)


V
Village

 

처음에 애교육때문에..아니면...사업때문에 오시는분들 많으시죠...

아니면 주재원분들이야...회사에서..보조해주니..별걱정이야..없지많은..

특히, 교육때문에 오신분들은...집세에..비자..비용이 아마 큰비중을 차지 하리라 생각됩니다...

제가 느낀점을 ...써볼까 합니다..

처음에들..못 모르고 집고르는데.많이들 고생하시는데...

제 생각에는...자기 현수준이나..아니면..처음부터 큰집보다는...낮게 시작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내요..

1~2년 생활해 보시고 그 다음에.. 자기에 맞는 수준을 선택하는것이 어떤가 합니다...

필리핀 집값이 장난 아닌것 같더라구요...점점 오르고..그리고...의외로...낡은집들이 많읍니다...

겉은 멀쩡하지만, .여기 자동차하고 집하고..같은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동차도 다 외제차고...겉은 멀쩡하지만...속은..멀쩡한차..많지 않읍니다...

집도 마찬가지 입니다..한국생각으로 오신분들은..처음에 열받은 부분이 많읍니다..여러가지로...

집 수리도 그냥 보기에는 멀쩡하지만..살아보면..한달 두달후에 문제 많이 생깁니다..

그러면..임차인 잘못이라고 하는 주인도 많이 있읍니다...

그래서..되도록이면..10년이전 집을 선택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내요  꼼꼼이 확인하시고..벽에 붙은 콘센트

하나하나...

잘못하면...전자제품..망가지기 일수...(한국전자제품 망가지면 여기서 고치기 힘들어요)

누전...또한..물값장난 아니게 많이 나오는집 있읍니다..

예를 들어 4인 가족 1000페소 많이 나오는곳..누수 거의 100%확율이 ..많아요..

아니면..헬퍼의 장난(예전에..보니..그냥 물틀어 놓고..놀고 수다 떨고 전화하고)입니다..

그리고 참 문고리 장난아니게..고장이 쉽게 납니다...

집주인한테 얘기를 하면..금방고쳐주는 필리핀사람들 별로 없어요..극히 일부외에는...

아니면..질않좋은 주인은 Deposit 에서 공제 하는 사람도 있읍니다.

또한, 한국사람들 중에 집에 문제가 있어서 나가야 되는경우 새로 여기온 정착하는사람한테..떠넘기는경우도

조심해야 됩니다...

아무튼 여러가지로 조심해야 되는것이 필리핀생활입니다...

연말에 즐거운 연휴도 보내시고...건강들 하세요..

 

 

 

 

 

 

 

배달민족

<p>네...그렇지요</p> <p>처음 오신분들 조심할게 한두가지가 아닌듯해요..항상 조심해서 나쁠것은 하나도 없을것같습니다...</p> <p>새해복많이받으세요...</p>

보람찬하루

<p>@ 배달민족 님에게...복많이받으세요......</p>

은혜사랑

<p>좋은 조언이시네요.집세.물세.전기세등등 만만치 않은 필리핀 생활입니다.</p>

참이슬11

<p>물세는 그래도 저렴한편 아닌가요...?@ 은혜사랑 님에게...</p>

관택

<p>@ 은혜사랑 님에게...좋은내용입니다 즐거운하루돼세요</p> <p>.</p> <p>.</p> <p>.화이팅</p>

관택

<p>@ 은혜사랑 님에게...좋은내용입니다 즐거운하루돼세요</p> <p>.</p> <p>.</p> <p>.화이팅</p>

Ting

<p>정직하면 서로가 믿음이 생길텐데....이런일들이 새해부턴 없기를 희망 해 봅니다.</p> <p> </p>

바쁜늘보

<p>참 이부분은 너무 공감이 되네요. 이사하기 전에 문고리 고쳐달라고 했는데 결국 안해줘서 포기했습니다.</p> <p>그 외 고칠 부분 상당한데.. 무시하고 그냥 살기 일수. 일일이 신경쓰면 오히려 더 머리아프다는...</p>

raymond2

<p>좋은말씀이십니다.</p>

데이지5

<p>필리핀에서의 정착 성공여부는 집세와 공과금이라해도 과언이 아니예요</p> <p>고정비용의 가장 큰부분을 차지하니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p>

amihan

<p>@ 하키1 님에게...주인에게 이야기해서 직접 고치시고 나중에 영수증 첨부하여 </p> <p>임대료에서 공제하는 방식으로 하는건 어떨까요 ? 고쳐 달라고 하면 오래 걸리더둔요..</p> <p> </p>

bista00

<p>맞아요^^</p> <p>전화로 통보하고 사전 승낙이 필요하지만 피곤해도 직접하는게 빠릅니다.</p> <p>단, 영수증 꼭 챙겨 놓고 사진도 찍어 놓으셔야 합니다.</p> <p> </p> <p>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p> <p>2015년은 올해보다 더 좋은 일 많이 생겨서 늘 기쁘고 감사하는 일만 넘치시길 기원합니다~</p> <p>@ amihan 님에게...</p>

아르티앤

<p>좋은정보 고마워요</p>

아르티앤

<p>그렇죠.. 저도 첫집에서 수도세로 집주인과 약간의 다툼이 있었어요.</p> <p>각 집마다 계량기가 없어서.. 공용으로 내라고 했는데..</p> <p>한달에 많이 낼때는 1,500페소 정도 준것 같아요.</p> <p> </p>

ICAS LIGHT

<p>존 지적입니다..</p> <p>꼼곰히 살피고 정확하게 해야 뒤탈이 엄지요..</p> <p>그렇게 피해를 본 분들이 만으시죠..</p> <p>존 참고가 될듯하네요..감사합니다.</p>

TEDDY

<p>처음 오신분들은 대부분 이런 부분을 확인하거나 제대로 체크하기 어려운 일인데..</p> <p>잘 설명해 주셨네요. 입주전에 사전점검을 통해 문제가 있는 설치물에 대해서는</p> <p>고쳐달라는 요청후 확인후 입주하시면 나중에 고쳐달라니 마니 하는 다툼이나 문제는</p> <p>발생하지 않을겁니다.</p>

오링의추억

<p>네. 집은 항상 신중하게 고르셔야 합니다.</p>

업이

<p>좋은 조언 좋은내용입니다. ^^</p>

ALLFAMILY

<p>공감하는 부분이 거의 다네요</p> <p>끝까지 읽어보시고 선택하시는게 초보 정착 분들에게</p> <p>도움이 될겁니다.</p>

보탱배

<p>아마도 체류비의 절반에서 삼분의 일 정도를 차지하는게 주거비 일텐데...정말 신중한 문제인데...워낙 정보들이 취약하니 브로커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그런 현실...브로커들이 현지인들과 결탁하면 무조건 뒤집어 쓸수밖에 없는 현실이...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사이트에 올라오는 글들이 않좋은 내용들이 많은걸 보면 좀 걱정... </p>

shil88

<p>개인적으로는 집주변 소음이랑, 트래픽 여부도 한번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p> <p>시끄러운 분위기에 안 익숙하신 분들에겐 이거 정말 큰 스트레스거든요.</p> <p>그렇다고 문 닫고 에어컨만 틀고 살 수도 없는일....</p>

Village

<p>@ shil88 님에게...이부분도 중요합니다.제가 적을려고 하다가...길어질것같아서..생략...</p> <p>닭소리...현지인등..24시간 고성방가..노래방 기계설치하여..노래 합니다..또한 주변 길에서 가까우면</p> <p>오토바이소리.....</p>

세부아인슈타인

<p>@ Village 님에게...</p> <p> </p> <p>대박.....우리집 말씀 하시는줄 알았어요 ㅋㅋㅋ</p>

EASTWOOD-EDU

<p>소비를 줄이는 첫번째는 집의 컨디션도 중요하겠지만.</p> <p>사업체나 아이들학교와 가까운것도 소비를 줄이는 한부분이 될겁니다.</p> <p>교통체증에 시간과 기름값 교통비 이부분부터 줄이셔야 합니다. 다음이 집안의 컨디션조절이 아닐지..</p>

필사남

<p>@ EASTWOOD-EDU 님에게...<br />맞는 말씀입니다 집, 학교, 직장은 가까운 곳이 좋습니다 특히 필에서는 요.</p>

nick1002

<p>저도 2천페소 그다음은 6천페소 지금은 9천페소 집에살지만 매번 확인다하고 이사했네요 다행히 집주인 잘만나서 별문제는 없이</p>

시원소주

참고 하겠습니다. 저는 제 체중이 많이나가서 변기 커버가 부셔졌습니다. 제가 고치려고 마트에서 사다가 끼워봤더니 사이즈가 틀리더군요. 집주인이 고치다고 일하는 사람 불러다가 고쳤습니다. 근데 일해준 꾸야가 순순히 돌아가더니 팁을 바란건지 2백페소 달라고 하길래 줬습니다.ㅋㅋㅋ

찔러라삔

필리핀 집은 한국 사람이 보기에는 부실 덩어리입니다. 멀리서 보면 멀쩡하고 페인트칠 쌈빡하게 해놓으면 좋아보이고요... 그러나 가까이 생활하면 살아보면 이야기가 많이다르죠. 한필가족중에 새로 집을 짓는분들은 이부분을 이야기 많이 생각하더라고요. 지붕의 구조나 큰나무의 위치도 중요하고요. 좋은글 잘보았습니다.

Village

<p>@ 찔러라삔 님에게...페인트을 싼거을 써서 그런가..한두달 생활하면..벗겨지기 시작하내요..</p>

찔러라삔

<p>@ Village 님에게...맞아요. 필리핀은 태양빛도 강열하고 온도 높고 비도 많이 오고요.<br />이런 환경이 수명에는 최악의 조건인것 같아요.</p> <p>페인트 칠을 할때 기술자들의 수준이 같은 수준이 아니고 극과극을 달리는 것 같아요.</p> <p>진짜 잘하는 사람은 오래가고요. 색상 조합도 다르고요. 포맨들이 움직이는 진짜 기술자들이</p> <p>페인트칠 하는 것을 한번 보세요... 저도 도장 자격증이 있어 예전에 자격증 연습할때 보던 것을</p> <p>본적이 있어요. 국내서도 과정 다하는것 보기 어려운대 쉽지도 않고요. 숙련 되기 어려운 것을</p> <p>실전에 대입 하더라고요... 놀랐습니다.... 제가 보고도요... 가격도 비싸지도 않아요...</p>

세부집부동산

<p>주의사항</p> <p>1. 집에 못질은 삼가해 주세요.</p> <p> </p> <p>필리핀 콘크리트는 좀 약하기 때문에 못 질하다가 주변까지 금가는 곳들이 많습니다.</p> <p>특히 커튼 설치하신다고 못질하다가 문제 커지는 경우들 있습니다.</p> <p>주인에게 부탁해서 드릴로 해달라고 하면 해줍니다.</p> <p> </p> <p>2. 문고리 문제</p> <p>필리핀의 문고리는 싸구려를 자주 사용합니다.</p> <p>문고리는 실제 350~850 폐소면 좋은 것을 살 수 있지만</p> <p>주인에따라 그냥 250폐소 정도 되는 저렴한 것을 기름칠도 안하고 그냥</p> <p>설치하다보니 문이 그냥 잠겨버려 난감해 지는 경우들이 발생합니다.</p> <p> </p> <p>이런경우 주인에게 문고리를 미리사서 고친 후 청구하겠다고 하면 대부분의 주인들이 받아들입니다.</p> <p>특히 문고리가 가끔 자동으로 잠겨서 안열릴경우 빠른 교체를 하시는 것이 현명합니다.</p> <p> </p> <p> </p>

ALLFAMILY

<p>@ 세부집부동산 님에게...</p> <p>흔히 격는 일들이죠</p> <p>그런데 우리는 계약서상에 5.000페소 이상이</p> <p>나왔을때 청구할수 있고 등기구,문고리,수도문제 등등</p> <p>1.500 ~3.000 페소가 나와도 안해주고</p> <p>해주라고 버티기 작전을 하면 우리가 손해더라고요</p> <p>그래서 어쩔수 없이 우리가 고쳐 씁니다.</p>

필사남

<p>@ 세부집부동산 님에게...<br />1번 동의합니다 여기서는 웬만하면 드릴로.</p>

rlarbehd

<p>필리핀에서 생활하는 것도 비용이 만만치 않네요</p>

쭈니찌니맘

공감 가는 말씀이시네요. 보기엔 깨끗하고 좋아보여서 살아보면 엄청 오래된 집이라는걸 알수 있죠. 집세도 비싸고 전기세도 비싸고.. 이래저래 살기 만만치 않은 곳이네요.

필사남

여기 임대집은 임차인의 디포짓으로 임차인이 나가면 새집처럼 다시 수리를 하는 건지 그냥 디포짓 안주려고 하는 건지 디포짓 받아내기도 힘들어요.

yoyo

<p>처음 오셔서 집을 구입하려면 제일먼저 브로커분들을 만나십니다</p> <p>제일먼저 그분들부터 조심하고 다음에 문제는 다음도 조심하시는게....^^</p>

남매파파

<p>지당하신 말씀이네요</p>

itman

자동차 보니 알것같더군요 겉은 깨끗한데 앤진소리 매연 내부 청소 엉망이고 전기 자체를 건들지 못하게 하니 전기세 아끼려는 방법쓰려다 불법도전으로 오해받고 전기세는 어찌나 비싼지 이나라는 전기도 수입하나요?

아기토치

<p>정말 뼈저리게 와닿는 말씀이네요ㅠㅠ</p>

남자는직진

<p>좋은내용 감사합니다.</p>

남매파파

<p>대박 조회수네요....</p> <p>좋은말씀 감사합니다..</p>

tipinsurance

<p>필리핀 임대 계약서에는 (아마 99%) 최소 수리로 인한 지출 부담에 대한 책임 한도가 기입되어 있습니다.</p> <p>일반적으로 5천 페소 기준으로 둔 계약서가 가장 많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요</p> <p>건당 5천 페소 미만의 수리의 경우 대부분 렌트한 사람이 부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 임대 전에 꼼꼼히 확인하여 작은것 수리는 미리 부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하지 않다가 한번 잘 못 하여 부서지는 경우 위의 경우 처럼 문고리 같은 것은 교체 하더라도 비용이 5천페소는 절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임대한 사람이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 있지요.</p> <p>계약서 꼼꼼히 확인 하셔서 불이득 보지 않길 바랍니다</p>

영구갱

<p>조언 고맙습니다</p>


Page46of95, total posts: 3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