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국민 72%, 콘돔 사용 찬성으로 돌아서 (2)


  필리핀 국민 72%, 콘돔 사용 찬성으로 돌아서 - 종교적 영향으로 콘돔사용에 부정적이던 인식 전환 – - 콘돔 기반의 적극적인 정부정책 추진기반 확보 -       □ 콘돔배포 및 사용에 찬성 압도    ○ 필리핀 국민의 70% 이상이 정부의 콘돔 배포 및 사용홍보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돼 그 동안의 행태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음.    ○ 전통적으로 필리핀은 국민의 83%가 가톨릭 신자인 종교적 영향으로 콘돔 사용에 매우 부정적이었으나 이번 조사는 이러한 그동안의 인식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정부정책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함을 시사함.    ○ 필리핀 보건부는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콘돔의 유·무료 배포는 물론 지속적이고 올바른 사용을 권장하는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기로 함.    ○ 필리핀 보건부가 조사전문기관인 Social Weather Stations (SWS)에 의뢰해 4월16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와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의 감염을 막기 위해 콘돔을 배포하는 것이 좋다는 긍정적 반응이 72%에 달했음.    ○ 이번 조사에서 콘돔배포 찬성은 수도권(NCR) 지역은 80%, 북부지역인 루손은 75%로 높았던 반면 중부지역인 비사야스와 남부지역인 민다나오지역은 각각 64%와 70%로 콘돔배포에 대한 호응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음.    ○ 또한 도시지역에서의 콘돔배포 및 사용 찬성 75%에 이른 반면, 시골지역은 67%로 나타나 동시지역에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인 바 있음.   □ 콘돔 시장규모 및 수입현황    ○ 위에서 언급한 가톨릭 교도가 압도적인 종교적인 영향과 이에 따른 콘돔 사용장려에 소극적이었던 정부정책이 맞물려 9300만 명에 달하는 많은 인구에도 필리핀 콘돔시장은 매우 제한적인 편이었음.    ○ 필리핀은 천연고무를 사용한 콘돔을 생산하며 유명 브랜드 제품 수입도 이뤄지는데, 연간 수입규모는 200만~300만 달러에 이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수입금액은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콘돔 사용 장려정책에 따라 2009년에 수입이 크게 증가했음.    ○ 콘돔은 퍼스널케어 제품으로 분류되며 현지 생산비중이 해외로부터의 수입보다 훨씬 많은데 시장규모와 현지생산 및 수입현황은 다음과 같음   필리핀의 콘돔시장 규모 및 수입현황 (단위 : FOB US$, %)   구분 2007 2008 2009   총계 증감률 총계 증감률 총계 증감률 시장규모 2,700,533 -25.5 2,561,570 -5.42 3,542,957 38.31 국내공급 1,580,021 0.69 1,568,852 -0.75 2,013,756 28.36 해외수입 1,120,512 -62.4 992,718 -12.9 1,529,207 54.13   주 : 국내 공급은 Business World(경제지) 및 증권거래소(SEC) 보고서 참고 자료 : 필리핀 통계청(National Statistics Office)   □ 브랜드 경쟁동향 및 가격    ○ 콘돔은 미국 브랜드인 Trust, Frenzy와 Premiere 등이 저렴한 가격과 대대적인 광고와 판촉활동에 힘입은 바 크며 미국 식민지 영향으로 미국에 대한 우호적인 이미지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됨.    ○ 이들 브랜드 제품들은 편의점, 슈퍼마켓, 호텔 및 여러 숙박시설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다른 브랜드들 예를 들면 Sensation과 Fulex 등은 필리핀 최대의 약국체인으로 전국에 걸쳐 있는 Mercury Drug Store에서 구입할 수 있음.    ○ 마닐라KBC에서 전화 인터뷰로 업체들을 접촉해 확인한 결과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Trust와 Frenzy 브랜드로 고객들에게 많이 팔리는 것으로 조사됨.    ○ 가격은 브랜드마다 차이가 있는데 Durex가 개당 40페소(1000원)로 가장 비싸며, Trust는 개당 10페소(250원)에 판매되고, 이 외에 Frenzy는 개당 14페소, Sensation은 24페소, Fulex는 38페소로 조사됐으며 일부 호텔과 모텔은 무료배포를 함.   □ 유통구조    ○ 콘돔의 판매는 구매자들이 일반 소비제품과는 달리 필요할 때 쉽게 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필리핀의 콘돔 수입 및 유통업체는 2개 사가 과점하는 형태임.    ○ 다른 하나는 제조업체들이 유통업체들에 직접 제품을 공급하는 형태인데, 수입 및 국내 제조업체들 모두 공급대상은 약국체인, 편의점, 호텔, 모텔 등 숙박시설, 슈퍼마켓, 기타 건강용품점 등을 들 수 있음.   □ 수입정책 및 관세제도    ○ 콘돔(HS 4014.14.00)의 수입에 대해서는 아세안 제품에 대해서는 무관세가 적용되며 한국도 아세안과의 자유무역협정(AKFTA)을 체결, 무관세를 적용 받음.    ○ 그 밖의 국가들에 대해서는 최혜국(MFN) 세율인 3%의 수입관세를 적용함.   □ 시장 진출 방안    ○ 필리핀에서 콘돔 수요가 가장 많은 시기는 매년 2월의 발렌타인 데이를 전후한 기간이며, 유통 및 판매업체들은 이 시기를 전후로 다양한 판촉활동을 전개함.    ○ 물론 해당 시기만을 대상으로 한 제품수출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나 어떤 형태로든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국제품의 판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적절한 시기선택도 중요하며 판매제품은 현지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저가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함.    ○ 시장침투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인데 대중매체를 통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구매자들도 광고에서 본 제품들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짐.    ○ 현지의 2대 수입 및 유통업체인 DKT Philippines Inc.와 Philippine Seven Corporation을 통한 제품공급이 유망하나 다양한 제품을 저가에 공급받길 희망한다는 점과 신규진출을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 그럼에도 이 업체들은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며 소비자 공략법을 알고 있다는 점과 유통구조, 수요처 등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와 노하우가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접촉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함.    ○ 그다음으로는 호텔체인, 모텔, 편의점, 슈퍼마켓, 숙박시설 등과의 협정체결로 공급이 가능하며 방문 상담 및 샘플 제공을 하는 것이 일반적. 2대 수입 및 유통업체를 통한 제품공급에 비해서는 공급조건이 유리하나 시장침투가 그만큼 쉽지 않다는 점이 애로사항임.      자료 : The Philippine Star, 필리핀 통계청, 바이어 접촉
찌뿌니

찌뿌니

정보

Page13of15, total posts: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