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경제 (1)


출처: 필고 - 환상의 나라 필리핀 http://philgo.com 필리핀 정보 수록 및 교민 정보 제공 사이트.   필리핀 경제   1. 개 요 가. 경제 구조 ① ASEAN 국가 중 발전 속도가 늦은 편으로, 아래와 같은 경제사회 발전 장애요소 상존 ❍ 열악한 인프라 및 산업기반 ❍ 극심한 빈부격차(15대 명문가문이 국부의 50%이상 점유, 5인기준 가구당 월 소득 134불 이하 빈곤층이 전 인구의 1/3*) * 2009년 필리핀통계청 자료 ❍ 낮은 농업생산성(노동력의 1/3이 농업에 종사하나, GDP중에서 농업의 비중은 15%에 불과) ▪ 제조업: 종사 인구 15%, GDP 비중 30%, 서비스업: 종사 인구 51%, GDP 비중 55% ❍ 높은 인구증가율(년 2.04%) 및 실업률(7.4%) ❍ 정부 부패 및 무능으로 인한 막대한 재정적자 ② 그러나 해외파견 근로자의 송금(2010년 기준 약 188억 불), 풍부한 자연자원(매장량 세계 8위), 영어사용, 저렴한 인건비 및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적자 해소 및 경제개발 노력을 감안 시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2. 경제 동향 ① 경제성장률 현황 및 전망 ❍ 소수 화교, 스페인계 자본 등 재벌기업에 의한 국내 경제 독점과 마르코스 정부의 폐쇄적 공업화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던 필리핀 경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회복세 ❍ 아로요 정부 당시 시행된 무역투자 부문 자유화 확대, 정치 안정으로 2007년에는 31년 만에 최대치인 7.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 2008년 세계 금융위기와 고물가에도 불구하고, 해외근로자(OFWs, Overseas Filipino Workers) 송금액 증가, 소비중심 경제구조에 힘입어 인근 동남아국가에 비해 높은 수준의 3.8%의 성장률을 기록 * 해외근로자 송금액은 필리핀 GDP의 104%, 외환보유고의 38% 수준(2010) ❍ 2010년에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1.1% 성장에 그친 2009년 경제침체에서 반등하여 7.3%의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 ▪ 상품과 서비스 수출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서의 지속적 성장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에서의 성장감소를 상쇄(3/4분기말 현재) ② 수출・입 동향 ❍ 원유, 곡물, 공산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매년 수십억 불의 적자 발생(2010년 94억불 적자)하였으나, 2010.1-11월까지 예외적으로 16억불 흑자 기록 ▪ 2010년 1~11월까지 총교역은 전년도 동기 대비 36.6% 증가하였는데, 아시아 시장 역내 경제활동 증대가 수출증대에 강한 추진력을 제공 ▪ 전자제품, 구리금소, 기계/운송장비, 화학제품, 코코넛 오일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신장 ❍ 필리핀은 무역적자를 해외근로자 송금액으로 메우고 있는 실정   ❍ 수출 지역별로는, 대 미국 수출이 65억 불(2010.1~11)로 전체 수출의 15.1%를 차지하고, 이외 수출비중이 10%가 넘는 국가는 일본, 싱가포르, 중국순임. ▪ 필리핀의 대 한국 수출은 19억 불로 필리핀의 8위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 품목별로는 전자, 반도체 수입비중이 전체의 60%로 월등히 높고, 이밖에 의류(주로 고급브랜드 제품 봉제), 구리(동남아 2대 광물 부국), 석유화학, 가구 등이 주요 수출품 ▪ 2010년 특히 전자, 구리, 기계/운송장비, 코코넛오일 등 수출 크게 증가 ▪ 특히 전자/반도체의 경우 인텔, TI, 삼성전자, 산요, 아남 등 외국 전자회사가 다수 진출해 있어 이들 기업과 협력한 부품 수입, 반제품 및 완제품 제조, 수출 산업이 발달해 있음. ❍ 수입은 자본재, 중간재 수입 비중이 높은 관계로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지로부터 수입 비중이 높고 한국으로부터 수입 비중은 6.8%(2010)로 6위 ❍ 품목별로는 필리핀 산업 구조(전체 수출의 60%를 전자, 반도체가 차지, 필리핀 진출 다국적 기업 중심)를 반영하듯이 전자, 반도체 등 중간재의 수입 비중이 높고, 이외에 원유, 기계, 철강 등 자본재 수입 비중이 높음. ③ 외국인 투자 동향 ❍ 2010년 외국인의 필리핀 투자는 전년대비 61% 증가 (4대 투자유치기관 신고기준, 승인액 기준)

Comment List

찌뿌니

정보

Page9of15, total posts: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