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사회 구조 (교육,종교,언론,방송국,라디오,주요공휴일 등) (2)


출처: 필고 - 환상의 나라 필리핀 http://philgo.com 필리핀 정보 수록 및 교민 정보 제공 사이트.   필리핀 사회 구조   1. 필리핀 사회   가. 열악한 치안 환경 ❍ 필리핀은 인구는 1억명으로 추산되지만, 경찰 총 병력은 10만명 수준으로 경찰 1인당 약 1,000명, 수도권 등 인구밀집지역에는 약 5,000명의 치안을 책임지는 수준 ▪ 경찰 부패도 상당하여 살인, 납치, 금품 갈취 마약 등 강력사건에 경찰이 개입하는 경우가 빈번함 ▪ 불법 총기가 2010년말 현재 1,110,000정에 이르며, 전국적으로 연간 1만건 이상의 총기를 이용한 강력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경찰의 수사기법은 초보적인 수준 ❍ 필리핀에는 관광객이 자주 찾는 수빅, 세부 막탄섬, 보홀섬, 보라카이섬 등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치안상태가 좋지 않으며, 민다나오섬(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 수리가오/아구산 주 제외), 술루, 바실란, 팔라완주 프린세스프린세사 이남지역은 테러 및 범죄 단체의 활동이 왕성하고 이슬람 반군과 정부군과의 교전도 종종 발생하고 있음 ▪ 2010. 11. 8.부로 여행경보단계를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하였음(1단계 → 2단계) ❍ 2009년, 2010년 우리국민을 상대로 각 6건의 살인 사건이 발생하는 등 총기에 의한 강력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음 나. 이슬람 반군 ① 모로 민족해방전선(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 ; MNLF) ❍ 1996년 9월 2일 정부와 평화협정을 체결, MNLF 소속원은 대부분 정부군과 경찰 등으로 편입되었으나, 전 지도자 Nur Misuari 추종세력이 잔존 ② 모로 이슬람해방전선(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 MILF) ❍ MNLF 세력간 내분에 따라 1979년 Hashim Salamat가 MNLF에서 이탈해 창설 ❍ 이슬람지역내 완전한 독립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정부와 MNLF간 체결된 평화협정에 반발 ❍ 2001년 6월 정부와 정전 협정을 체결하였으나 정부군과 MILF간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2003년 2월 이후 한때 무력충돌이 격화되고 MILF에 의한 테러공격 증가 ❍ 2003년 7월 정부와 MILF간 민다나오 개발 등을 내용으로 한 잠정 평화협정 체결 이후 양측간 무력충돌은 다소 감소 추세이며, 현 정부와 평화협정 교섭 추진 ❍ 2005년 9월 이후 말레이시아 중재로 개최된 협상에서 진전을 이루어 2008년 8월 양측간 합의각서(MOA) 서명 직전까지 갔으나 가톨릭계 지자체들의 반발로 무산된 후 무력충돌 발생 ❍ 2010년 6월 Aquino 정부 출범 이후 평화협상 진행 중 ③ Abu Sayyaf Group ❍ 1991년 8월 Abdurajak Abubakar Janjalani가 이슬람국가 건설을 목표로 민다나오에 창설한 과격 테러단체 ❍ 암살, 폭탄테러, 납치 등의 테러활동을 자행하고 있으며, 알 카에다와도 연계(미국 정부는 테러단체로 지정) ❍ 2002년 2-7월간 Abu Sayyaf 반군 소탕을 위한 필리핀・미국 연합 훈련으로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본거지를 Sulu 지역으로 이동, 현지 반군세력과 합세하여 조직을 재정비 ❍ 특히 인도네시아의 국제테러단체인 Jemaah Islamiyah(JI)와 협력을 강화하여 테러훈련, 장비 등을 제공받고 필리핀 내에서 폭탄테러 등 자행 ④ 군소 이슬람단체 ❍ 기타 Islamic Command Council, Moro Revolutionary Army, MNLF Reformist Group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활동은 별무 다. 공산반군 ① 신인민군(New People's Army ; NPA) ❍ 1968년 모택동주의를 추종하는 필리핀공산당 재건 직후 Jose Maria Sison이 공산당의 무장조직으로 결성 ❍ 1980년대 중반에 크게 세력을 확장하여 60개 주에 걸쳐 전 국토의 약 1/4를 장악하고 1987년 25,000명까지 세력을 확장한 바 있음 ❍ 1985년 말 마닐라 수도권 지역에서는 도시 게릴라 부대인 Alex Boncayao Brigade(ABB)가 대 정부 전복활동 전개 ❍ 1991년 8월 철저한 무장 투쟁을 주장하는 킨타나르 사령관 체포 이후 Ramos 정부의 사면과 회유로 세력이 감소하고 일반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해 현재는 루손 섬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소규모 병력만 유지 ❍ 2010년 6월 Aquino 정부 출범 이후 평화협상 진행 중 ② 민족민주전선(National Democratic Front ; NDF) ❍ 1973년 4월 창설된 공산당 계열의 통일전선 조직으로, New People's Army의 정치기구 역할을 수행 ❍ 필리핀 정부는 1992년에 네덜란드로 망명한 NDF 지도자 Jose Maria Sison의 귀국을 종용하는 한편, NDF와의 평화협상을 진행하여 1995년 화해 선언 채택 ❍ Ramos 정부는 1998년 3월 NDF와 인권 및 인도 국제법 존중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였으나 적대행위의 중단 등 평화협정은 미타결 2. 교 육 가. 약 사 ❍ 필리핀 최초의 대학은 1611년 설립된 산토 토마스 대학교(UST)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성직자들에 의한 종교교육을 위주로 운영 ❍ 1898년 스페인으로부터 영유권을 이어받은 미국은 필리핀 인에 대한 교육보급에 노력하여 공립 초․중등학교를 정비하고 1908년 필리핀국립대학 설립 ❍ 1946년에 완전독립을 달성한 필리핀은 1935년 헌법을 기반으로 민족주의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영어와 타갈로그어를 공용어로 하는 독자적 교육 추진 나. 학 제 ❍ 필리핀의 학제는 초등학교 6년, 중등학교 4년(우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통합 교육), 대학교 4년이 기본 ▪ 2011년부터 필리핀 정부는 순차적으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의 12학년 교육제도 도입 예정 ❍ 초등학교 입학 연령은 6세이며, 대학진학을 위해서는 중등교육 수료후 전국적인 예비고사와 각 대학의 입학시험 합격 필요 * 학교 수(2010년 기준) - 초등학교: 44,846개 - 중등학교: 10,384개 - 대학교: 2,180개 - 기술 및 직업학교 : 250개 이상 다. 특 징 ❍ 중등교육까지는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수학할 수 있어 개발도상국 중 교육수준이 비교적 높은 편(문자해독율 : 92.6%) ▪ 초등학교 진학률 : 99%(2009학년도 기준 13,934,172명 등록) ▪ 중등학교 진학률 : 82%(2009학년도 기준 6,806,079명 등록) ❍ 2,000여개 이상의 정규대학이 있으며, 대학 재학생 수는 2009학년도 기준 2,648,294명이고 이중 64%가 사립대학에 재학(연간 대학 졸업자 수는 2009년도 졸업생 기준 약 45.8만 명) ❍ 대학생의 40% 정도가 마닐라 소재 대학에 다니고 있어 지역간 교육격차가 심각 라. 필리핀의 주요 대학   3. 종 교 가. 지역별 분포 ❍ 필리핀의 종교 문화권은 루손 섬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83%) 및 개신교(9%)의 기독교 문화권, 민다나오 섬을 기반으로 하는 이슬람(5%) 문화권, 그리고 북부 내륙 고지대의 애니미즘(Animism) 문화권으로 크게 나뉨 나. 약사 ❍ 가톨릭은 1521년 마젤란 도착 이후 전래되었으나 본격적으로 포교된 것은 16세기 후반으로, 초기에는 주민의 가톨릭화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17세기 중반부터 주민들 사이에 정착되기 시작 ❍ 개신교의 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미국・스페인 전쟁 때로, 미국은 1899년부터 필리핀 내 개신교의 포교를 시작하였으며, 가톨릭 교회에서 금지하던 성서의 각 언어별 번역 작업을 실시하고 교육・의료 분야 등에 적극적으로 진출 ❍ 이슬람교는 1380년경 술루 군도를 시작으로 민다나오 섬에 전파되고 16세기 후반 루손 남부지역까지 세력이 확장되기도 하였으나, 스페인의 가톨릭화 정책으로 현재는 민다나오 지역에만 세력 유지 4. 노동 가. 기본정책 ❍ 필리핀 정부는 노동자 보호, 완전고용 촉진, 평등한 고용 기회 보장, 노동단체 구성권과 단체협상 보장, 인간적인 노동조건 보장 등을 정책의 목표로 설정 ❍ 노동법은 1974년에 제정된 Labor Code를 중심으로 기존의 관계 법령을 종합 나. 노조활동 ❍ 최근 노조활동은 1990년대에 비해 현격히 감소했으며,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 한정 ▪ 노사분규 건수가 1990년 183건에서 2010년 8건으로 지속 감소 ❍ 개별노조는 2011년초 기준 16,293개, 가입자 수는 약 136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중 75만 명(60%)이 메트로 마닐라에 집중 ❍ 필리핀 3대 노조연합은 '필리핀 노동조합 회의(TUCP)', '노동절 운동(KMU)', '자유노동자 연합(FFF)'이며, 노동조합 수는 약 5,700여 개로 추산 ❍ 필리핀 노조연합의 양대 단체는 '필리핀 노동조합회의(TUCP)'와 '노동절 운동(KMU)'인데, TUCP는 1974년에 결성된 최대 노조연합 단체로서 온건 노선인 반면, 급진 노선의 KMU는 정부와 대립하면서 TUCP와도 불화 관계 다. 최저임금 ❍ 최저임금은 지역별 지역임금위원회(Regional Wage Board)가 결정 ▪ 구성 : 노동고용부의 지역책임자(의장), 경제개발청과 통산부 책임자(부의장), 고용주 측과 피고용자 측 대표자 ❍ 최저임금 수준은 각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며, 메트로 마닐라의 경우 1일 비농업 404페소, 농업 367페소(2011년 3월, National Wages and Productivity Commission)   5. 보건복지 가. 주요시책 ❍ 보건 및 복지정책은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와 사회복지개발부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Development)에서 각각 관장 ❍ 국민건강을 위한 보건 프로그램으로 기초건강관리 프로그램, 임산부와 어린이를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결핵관리 프로그램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의약품의 품질을 높이고 약품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의약품개발 프로그램 마련 ❍ 또한 빈곤층과 여성, 아동, 장애인, 노인의 복지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시행 나. 의료인력 및 시설현황 ❍ 정부는 의료인력 양성 및 의료시설의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의 수는 크게 부족하며 병원 및 병상 수 등 의료 인프라는 열악한 수준 ▪ 병원 수 : 약 1,820여 개(병상수 97,430여 개) ▪ 의료인력 : 의사 2,462명, 치과의사 1,771명, 간호사 27,839명, 약사 3,050명(2010.12월말)   6. 언 론 가. 개 요 ❍ 언론계는 1986.2월 시민봉기 이후 전면적 개편이 이루어져 Marcos 정권 당시 폐간이나 정간되었던 언론사가 복간되고 새로운 언론사가 창설되는 등 자유언론을 구가하고 있음. 나. 중앙 일간지   다. TV 방송국 ❍ 국영 MBN-4 외에 민영방송국 6개 사가 있으며, 방송언어는 필리핀어(타갈로그)를 주로 사용하고 영어를 일부 사용함. ABS-CBN과 GMA-7이 양대 방송사로 역할.   라. 라디오 ❍ 383개의 AM 방송국, 659개의 FM 방송국이 있음   7. 주요 공휴일 1. 1 신정 3-4월 중성 목요일, 성 금요일 4. 9바탄 기념일(Bataan Day) 5. 1노동절 6.12독립기념일 8.21 아키노 기념일 8.25 독립영웅 기념일 11.1 만성절 11.30보니파시오 기념일(Bonifacio Day) 12.25성탄절 12.30리잘 기념일(Rizal Day) ※ 관청, 은행, 회사는 토요일 휴무

Comment List

즐기며살자

흠 그렇구나...주요 공휴일이 그리 와 닿는 것은 없네

찌뿌니

정보

Page9of15, total posts: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