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2011 년 1/4 분기 경제동향 (2)


출처: 필고 - 환상의 나라 필리핀 http://philgo.com 필리핀 정보 수록 및 교민 정보 제공 사이트.   필리핀 2011 년 1/4 분기 경제동향   1. 1/4분기 경제성장 및 금년도 경제성장 전망 ◦2011년 1/4분기 GDP 성장률은 정부지출 감소와 세계교역증가 둔화로 전 분기(2010년 4/4분기) 7.1%보다 약화된 4.9%를 기록 -2010년도 경제성장률은 7.3% -2/4분기에는 6%에 가까운 경제성장을 이룬 것으로 잠정 평가(First Metro Investment Corp. & UAP) ◦이에 따라 필리핀 정부는 당초 금년도 경제성장 전망을 7~8%에서 5~6%로 하향 조정 -World Bank는 금년 5%, 2012년 5.4% 성장 전망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는 금년도 4.7%, 2012~15년 평균 5.4% 성장 전망 -Standard Charted Bank는 금년도 5.7% 성장 전망 ◦필리핀 정부와 일부 민간 전문가들은 세계 경제성장 동력이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대외경제환경도 안정적인 것으로 분석하면서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다소 가속화된 6~6.5%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 -미국, 유로지역, 신흥 시장의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회복은 지연되고 있으나, 일본 쓰나미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전망 -또한 중동 및 북서 아프리카 지역의 정세 불안에 따른 해외근로자 취업 감소도 취업국가 다변화 등으로 상당히 상쇄 ◦그러나 EIU는 지난 3년간 침체된 세계경제를 진작하기 위하여 시행되어 온 정책들이 중단됨에 따른 급격한 국제경기 하락 가능성 및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정세불안에 따른 해외근로자송금액 감소 등을 이유로 하반기 필리핀 경제 성장을 다소 보수적으로 전망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은 필리핀 전체 해외송금액의 14%를 차지 2.인플레이션 ◦전세계적인 식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승하여 2011년 상반기 평균 4.75%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하였으며 2011년 연평균 4.9%에 달할 것으로 전망(EIU) -1월 4.0%, 2월 4.8%, 3월 4.8%, 4월 4.7%, 5월 5.0%, 6월 5.2% -국내적으로는 고유가와 교통요금, 통신요금 인상이 주도 -2010년에는 엘니뇨로 인한 가뭄으로 농산물 생산이 저조하였던 것이 국내 식료품 가격인상을 야기하였으나 금년도에는 미곡 증산*으로 국제적 식품가격 인상에 부분적 대응 가능한 것으로 평가 *1/4분기 역대 최고의 벼 수확(전년도 동기 대비 15.63%로 역대 최고)을 기록하여 하반기에 예상되는 강한 태풍에도 불구하고 금년도 벼 생산량은 전년도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을 전망 ◦금년도 물가상승률을 3~5%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앙은행은 3월과 5월 두 차례 0.25% 포인트 인상하여 정책금리를 4.5%*까지 조정 *overnight borrowing rate: 4.5%, overnight lending rate: 6.5% -6월에는 정책금리 인상 대신 은행지급준비율을 1% 포인트 인상된 20%로 인상하여 인플레이션에 대응 ◦Standard Charted Bank 등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금년도 물가상승률을 3~5% 내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반기 추가 정책금리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 3. 실업률과 고용 ◦4월 실업률은 7.2%를 기록하여 1월 7.4%보다 다소 개선된 것으로 평가 -2010년 4월(실업률 8.0%)과 비교, 필리핀의 실업인구가 1년 전 3.1백만명에서 2.9백만명으로 감소한 것을 의미 ◦그러나 불완전고용(underemployment) 인구는 오히려 80만명이 증가한 7.1백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어 양질의 직업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무급가족종사자가 11.8%에서 11.9%로 증가하였으며, 1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비율도 36.6%에서 37.1%로 증가 ◦산업구조별 종사인구는 농업 33.0%, 서비스업 51.7%, 공업 15.3%로 나타났는데, 전년도 대비 서비스, 공업 종사인구가 감소하고 농업인구가 증가하여 산업화라는 국가경제목표에 비추어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인 것으로 분석(UP 경제학자 Diokno) -농업 32.5→33.0%, 서비스업 52→51.7%, 공업 15.5→15.3% 4. 교역 ◦1~4월 수출은 165억불(전년동기 대비 10.9% 증가), 수입은 211억불을(전년동기 대비 22.9% 증가) 기록하여 46억불의 무역적자 5. 해외근로자 송금 ◦1~4월 해외근로자 송금액은 62억불로 전년도 동기 대비 6% 증가 *필리핀의 해외근로자 송금액은 GDP의 약 10%에 달하는 수준으로 2010년도 188억불 -미국,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싱가폴, UAE, 이탈리아 순 ◦중앙은행은 연초 해외근로자 송금이 연간으로 약 7% 증가하여 200억불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으로 동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 6. 환율 ◦2010년 기록적인 포트폴리오 투자 유입 등에 힘입어 대달러 평균환율이 45:1을 기록하였으며, 2011년 1/4분기 평균 환율은 43.8:1을 기록 -금년도(2011.1~6.17)에도 포트폴리오투자는 22.9억불로 작년도 동기 6.97억불보다 3배 이상 증가 ◦EIU는 2015년까지 장기적으로 대달러 환율이 43.6:1로 절상될 것으로 전망 7.외환보유고 ◦6월말 외환보유고가 해외근로자송금과 포트폴리오투자 유입 증대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 대비 42% 증가한 690억달러를 기록 -당초 중앙은행 금년도말 외환보유고 전망은 700억달러 ※ 필리핀 신용등급 상향 조정 ◦6.15 무디스사는 필리핀의 신용등급을 Ba3에서 Ba2*로 상향 조정 -아키노행정부의 신속한 재정건전화 노력과 거시경제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는 것을 평가 *투자부적격 등급으로 투자적격 최하위 등급인 Baa3가 되기 위해서는 Ba1을 거쳐 2단계 상향 조정 필요 -현재 베트남 Ba3/ 인도네시아 Ba2/ 인도, 브라질 Baa3/ 태국, 러시아, 포르투갈, 아일랜드 Baa1/ 말레이시아 A3/ 한국, 중국, 이스라엘 A1/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Aa3/ 일본, 홍콩 Aa2/ 벨기에, Aa1/ 미국, 캐나다, 싱가폴, 독일, 영국 AAA ◦지난 해 11월 Standard & Poor's사도 필리핀의 신용등급을 BB-에서 BB(투자적격보다 2단계 아래 등급)로 상향 조정

Comment List

intex

환율이나 내려주라 ㅋ

찌뿌니

정보

Page9of15, total posts: 584